“코로나 탓 안 가” vs “경제난 타개 위해 갈 것”… 김정은 베이징행 전망 엇갈려

입력 2021-12-09 04:05

미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김정은(사진) 북한 국무위원장의 올림픽 참석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방국가 중심의 올림픽 보이콧에 맞서 중국이 북한을 비롯한 우방국 정상의 참석을 적극 독려할 가능성이 크다. 김 위원장이 방중할 경우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올림픽 참석 가능성도 커진다.

현재로선 김 위원장의 방중이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는 데에 무게를 두는 견해가 많다.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국경 봉쇄가 장기간 지속돼 내부 경제난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자리를 비우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8일 “김 위원장을 올림픽에 참석하게 하려면 중국이 엄청난 선물을 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난에 숨통을 틔울 만큼의 대규모 경제적 지원이 따라주지 않으면 김 위원장이 베이징에 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진단이다.

미국의 보이콧이 김 위원장의 올림픽 참석을 더욱 꺼리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북·미 관계 측면에서 김 위원장이 아무런 정치적 이득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도쿄올림픽 불참을 이유로 북한올림픽위원회의 자격을 내년 말까지 정지한 것이 북한에 좋은 핑곗거리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그럼에도 김 위원장의 방중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좀처럼 국경을 열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경제난을 해소하려면 중국의 도움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신범철 백석대 초빙교수는 “(김 위원장의 방중은) 북·중 간 신뢰를 확인하고 중국의 체면을 세워주는 것이어서 그에 대한 보상이 따를 것”이라며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대북제재 문제 등 향후 미국과의 대결에서 중국이 북한의 입장을 서포트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림픽 자격정지 징계도 IOC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고려했을 때 충분히 해결이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김 위원장이 방중할 경우 문 대통령도 올림픽 참석을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다만 이 경우 미국의 반감을 살 수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남북 정상이 올림픽에 가면 2015년 톈안먼의 상황이 중국에 의해 연출될 것”이라며 “그럴 경우 차기 정권을 누가 잡든 큰 부담을 갖고 대미 관계를 가져가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2015년 톈안먼 상황은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행사에 참석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과 나란히 톈안먼 망루에 올랐던 것을 가리킨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