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소득 수준이 서유럽 국가만큼 부유하지만 경제적 불평등은 서유럽보다 심각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세계불평등연구소는 7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세계 불평등 보고서 2022’를 발간했다고 블룸버그통신 등 세계 언론이 일제히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소득은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 3만3000유로(3843만여원)로 서유럽 국가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올해 기준 한국인의 상위 10%가 1인당 15만3200유로(1억7850만여원)를 벌어 국가 전체 소득의 46.5%를 가져가는 동안 하위 50%는 1인당 1만600유로(1233만여원)를 벌어 전체 소득의 16.0%에 불과했다.
연구소는 “1990년대 이전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지 않은 채 한국이 급격한 성장을 추구하면서 불평등이 심화됐다”고 언급했다. 90년대 이후 국가 전체 소득에서 상위 10%가 차지하는 비중은 10% 포인트 늘어난 반면 하위 50%가 차지하는 비중은 5% 포인트 줄었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평균 자산은 17만9700유로(2억937여만원)로 중국보다 2배 이상, 인도보다 8배 이상 높아 아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였다. 하지만 한국인 상위 10%의 평균 자산은 105만1300유로(12억2508여만원)로 전체의 58.5%인 반면 하위 50%의 평균 자산은 2만200유로(2354만여원)로 전체의 5.6%에 그쳤다.
소득 기준으로는 상위 10%와 하위 50% 격차가 14배, 부 기준으로는 양쪽의 차이가 52배나 나는 셈이다.
성별로는 여성의 소득이 전체 소득의 32.4%로 중국 인도 일본보다 훨씬 높아 아시아 국가 가운데 1위였지만 미국이나 서유럽 국가처럼 이상적인 양성평등(소득의 절반을 여성이 차지)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 여성의 평균 소득은 1990년 27.3%, 2000년 29.2%, 2010년 30.9% 등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라고 보고서는 소개했다.
한편 보고서는 전 세계 상위 10%의 부자가 전체 부의 76%를 차지하고 있으며 하위 50%는 겨우 2%의 자산만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소득에서도 상위 10%의 부자가 전체 소득의 절반 이상(52%)을 가진 반면 하위 50%의 소득은 8.5%에 불과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전 세계 성인의 평균 소득은 1만6700유로(2200만여원)였고 평균 자산은 7만2900유로(9700만여원)였다.
상위 10%와 하위 50% 사이의 소득 격차가 가장 큰 지역은 중동·북아프리카였으며 유럽의 격차가 가장 적었다.
대부분 저소득·중소득 국가에서 경제적 불평등이 심각했다. 다만 브라질 인도 등은 전형적인 불평등 개발도상국가인 반면 말레이시아와 우루과이는 불평등이 심하지 않은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됐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