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안철수 첫 회동… “정의당·국민의당이 쌍특검 추천해야”

입력 2021-12-07 04:06
심상정(왼쪽) 정의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6일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회동한 뒤 각각 호텔 앞에서 기자들을 따로 만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6일 첫 회동을 갖고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한 ‘쌍특검’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회동으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 중심의 대선 구도에서 ‘제3지대 공조’가 변수로 부상할지 주목된다. 다만 정의당과 국민의당이 추구하는 이념·가치의 간극이 크다 보니 후보 단일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심 후보와 안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1시간20분간 회동하며 쌍특검 추진, 결선투표제 도입, 코로나19 대책 등에 대해 논의했다. 후보 단일화는 의제로 오르지 않았다.

회동 후 배진교 정의당 원내대표는 “정의당과 국민의당이 구성한 인물로 상설 특검을 추진하는 안에 두 후보가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어 “기득권 양당은 특검 후보자 추천권을 내려놓고 정의당과 국민의당이 추천위원회를 구성해서 추천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후보는 양당 체제에 경종을 울리기 위해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것에도 공감대를 이뤘다. 배 원내대표는 “양 후보는 후보 등록 전까지 대장동 개발과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한 진실이 규명돼 부패에 연루된 후보가 등록하는 불행한 일이 없어야 한다고 봤다”며 두 후보가 결선투표제 도입과 다당제가 가능한 선거제도 개혁을 함께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양 후보는 또 이번 대선이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는 점을 가장 우선시하면서 확진자 1만명, 중증 환자 2000명 이상을 치료할 수 있는 병상과 의료진을 확충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하지만 제3지대 공조의 앞날을 어둡게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쌍특검과 결선투표제 같은 의제는 한 달 정도 끌고 갈 만한 이슈지, 서로 다른 진영의 정당이 단일 후보를 낼 만한 명분이 되기엔 부족하다”며 “내각제, 이원집정부제 등 현 정치체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함께 내세워야 할 텐데, 지금은 그런 강한 원동력이 없다”고 분석했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