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전라선 고속철, 스마트 메가시티… 광주·전남 ‘상생발전위원회’ 다시 가동

입력 2021-12-03 04:07

광주·전남지역 공동 현안을 타개하기 위한 상생발전위원회가 3일 1년여 만에 다시 열린다. 광주시와 전남도의 수장인 이용섭(왼쪽 사진)시장과 김영록(오른쪽) 지사가 협력과제를 직접 논의하는 자리로 2018년 민선 7기 출범 이후 4번째다.

광주시는 “전남도와 공동으로 추진할 초광역 협력사업 등을 논의하기 위한 상생발전위가 상무지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고 2일 밝혔다.

시와 도는 최근까지 실무진 협의를 거쳐 신규 공동협력과제 9건과 기존과제 33건 등 총 42건의 논의 과제 상정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도는 우선 광주~대구를 1시간대에 잇는 달빛고속철과 전라선 고속철 조기 착공에 주력하기로 했다. 광주와 대구, 전남·북, 경남·북 등 6개 광역단체를 경유하는 달빛고속철은 영호남 1700만 시·도민이 염원해온 ‘동서희망 철도’다.

20년간의 노력 끝에 얻은 값진 결실로 지난 7월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최종 반영됐다. 전라선 고속철은 익산~전주~남원~곡성~구례~순천~여수로 이어지는 171.2㎞ 구간 중 89.2㎞ 굴곡 구간을 직선화해 최고 속도 시속 350㎞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도는 마한 문화권의 복원사업에도 공동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광주와 인근 나주·화순·담양·함평·장성 등 5개 시·군을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30분 생활권으로 묶는 ‘광주권 스마트 메가시티 아리 빛고을촌’으로 육성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시·도는 고속도로와 순환도로 등 사회간접자본(SOC) 확충과 관광자원 개발 등을 통해 해당 지역 주민 삶의 질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AI와 에너지 밸리·첨단 의료복합단지, 자동차 산업 등을 통해 현재 173만 수준인 시와 5개 시·군 인구를 200만 명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광주 군 공항과 공공기관 2차 이전 문제 등 민감한 공동 현안과 장기적 과제인 시·도 통합 등은 다루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해묵은 현안이자 미묘한 갈등을 유발해온 각종 문제에 대한 돌파구를 상생발전위가 찾아야 한다는 여론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