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코로나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대구 중심가인 동성로(사진) 상인들은 울상이다. 올해 관광특구로 지정을 받아 상권 활성화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 수가 기준에 턱없이 모자라 특구 지정이 물거품이 됐기 때문이다.
25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 중구는 동성로를 대구의 첫 관광특구로 만들기 위해 준비해왔다. 지난해 11월 동성로의 관광특구 지정 관련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2019년 동성로 외국인 방문객 수는 40만명을 넘었다. 또 관광인프라, 토지이용비율 등 관광진흥법에 명시된 지정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중구는 동성로가 각종 행정 지원과 법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관광특구로 지정되면 침체된 상권이 살아날 것이라고 보고 주민 의견 수렴과정 등을 거쳐 관광특구 지정을 추진했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한 것이 발목을 잡았다.
관광특구는 기초단체가 신청하면 광역단체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의해 지정한다. 지정 기준에는 ‘최근 1년간 외국인 방문객 수 10만명 이상’이 포함돼있다. 하지만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 유행으로 외국인 관광객을 받을 수 없었다. 중구는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 수를 조사하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보고 따로 조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문체부에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관광특구 지정을 결정할 수 있는지 문의했지만 규정대로 해야 한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중구 관계자는 “빨라도 2023년은 돼야 동성로 외국인 관광객 수가 예전 수준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관광특구를 신청할 수 있는 시기는 2024년으로 예상된다”며 “규정대로 하면 시기가 너무 늦어지기 때문에 유연하게 제도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동성로 상인들도 코로나19가 예측이 불가능한 재난이었기 때문에 다른 기준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상인들은 국민청원, 서명운동 등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