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이재명 성남시장 재직 당시의 비서실장을 불러 조사했다. ‘대장동 4인방’ 기소로 반환점을 돈 검찰이 배임의 ‘윗선’ 규명 작업도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은 24일 임승민 전 성남시 비서실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임 전 실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성남시장으로 있던 2014년 7월부터 약 2년간 비서실장으로 일했다.
검찰은 임 전 실장을 상대로 대장동 사업 인허가 등에서 성남시가 한 역할과 의사결정 과정 전반을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임 전 실장은 2014년 12월 말부터 2016년 2월 중순까지 대장동 사업 관련 결재 문서에서 ‘협조자’로 여러 차례 서명했다. 그의 이름은 ‘대장동·제1공단 결합 도시개발구역 개발계획 수립 입안 보고’, ‘용역비 환수계획 검토보고’, ‘사업 구역 및 개발계획 변경 입안 보고’ 등에 나온다. 사업 과정에서 성남시와 성남도시개발공사 간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를 비교적 소상히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었던 셈이다.
윗선으로 가는 또 다른 통로로 꼽히는 황무성 초대 성남도시개발공사 사장에 대한 ‘사퇴 압박’ 의혹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최근 당시 공사의 인사 담당 직원들을 소환해 황 전 사장의 사직 경위 등을 물었다. 검찰은 2015년 2월 6일 제출된 황 전 사장의 사표가 한 달이 지난 3월 6일에야 접수됐고, 이후 근무일 기준 사흘 만에 급하게 수리된 과정이 통상적이지 않았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사 인사팀 관계자는 황 전 사장이 3월 이전 사표를 냈다는 사실도 몰랐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황 전 사장 사퇴를 종용하는 녹취록에 등장하는 유한기 전 공사 개발본부장에 대한 검찰 직접 조사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녹취록에서 유 전 본부장은 ‘정 실장’과 ‘시장님’을 언급했었다.
한편 검찰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불법대출 사건 당시 대장동 사업 대출을 알선했던 조모씨도 지난 18일에 이어 두 번째로 불러 조사했다. 조씨는 2009년 대장동 개발에 참여했던 대장PFV가 부산저축은행에서 1155억원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알선하고, 그 대가로 수수료를 받은 의혹을 받는다. 이 사건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대검 중수2과장으로 있으면서 주임검사를 맡았었다. 여당 측은 윤 후보가 수사 당시 대장동 사업 대출과 연관 있는 조씨를 제대로 수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최근 윤 후보를 직무유기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