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5·18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들은 전씨에게 법적·역사적 책임을 묻지 못했다며 원통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23일 기자회견을 통해 “전씨의 죽음으로 진실을 묻을 수는 없다”며 “우리는 오월 학살주범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묻고 만고의 대역죄인 전두환의 범죄행위를 명명백백히 밝혀 역사 정의를 바로 세워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들은 “전씨는 자신이 5·18과 무관하다며 구차한 변명과 책임 회피로 일관해 왔다”며 “전씨가 죽더라도 5·18의 진실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씨는 계속되는 거짓말과 왜곡으로 국민과 사법부를 기망하고 반성과 사죄는커녕 5·18 영령들을 모독하고 폄훼하며 역겨운 삶을 살았다”며 “(조비오 신부 명예훼손) 재판이 학살 책임자에게 엄중한 법적 책임을 묻는 역사적 심판이 되길 기대했지만 그의 죽음으로 이마저도 기대할 수 없게 됐다”고 덧붙였다.
전씨를 형사고발한 조 신부의 조카 조영대 신부는 “총칼로 광주시민을 짓밟고 정권을 찬탈한 전씨는 진정한 뉘우침과 사죄를 하지 않고 세상을 떠나 커다란 오점을 남겼다”고 말했다.
광주 시민단체협의회는 전씨의 국가장과 국립묘지 안장을 절대 반대한다고 밝혔다.
시민단체협의회는 성명에서 “자신의 권력과 이권을 위해 시민들을 학살하고 반대자들을 감옥에 가둔 독재자가 편히 잠들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대한민국의 불행이고 부끄러움”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불법적인 권력을 통해 부와 권력을 대물림하며 사는 것을 용인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이 수치이고 절망”이라며 “광주는 전씨의 뻔뻔하고도 편안한 죽음에 분노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부가 5·18 정신을 헌법에 담겠다고 약속한 만큼 정치권은 하루빨리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는 것을 합의하고 여전히 왜곡과 폄훼가 끊이지 않는 5·18의 진실 규명을 위해 나서라”고 촉구했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위회는 “법률이 부여한 권한과 책임에 따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엄정한 조사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신군부 핵심 인물들은 더 늦기 전에 국민과 역사 앞에 진실을 고백해 달라”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