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22일 개방된 교통신호정보를 이용해 자율주행자동차가 운행하는 ‘디지털 교통신호정보 활용 합동시연회’가 열렸다. 교통신호정보를 내비게이션에 활용하는 방안도 발표돼 교통신호정보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줬다.
시연회는 대구시, 대구경찰청, 도로교통공단, 자율자동차 관련 기업 등이 참석한 가운데 달성군 대구국가산업단지 일원에서 열렸다. 시연에 나선 자율주행차는 개방된 디지털 교통신호정보를 바탕으로 직진과 좌회전, 비보호 좌회전뿐만 아니라 경찰이 수동으로 조작한 신호도 인지해 움직였다. 교통 혼잡 상황을 가정한 경찰의 수동 신호제어 인식 시연은 전국에서 처음 시도된 것이다.
이번 시연의 핵심은 디지털 교통신호정보 개방이다. 내비게이션 업계도 디지털 교통신호정보 개방에 관심이 많았다. 교차로 전방에서 내비게이션을 통해 직진, 좌회전 등의 잔여시간을 미리 알 수 있으면 무리하게 과속으로 교차로를 통과하는 행위나 꼬리 물기 등의 문제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 역시 디지털 교통신호정보를 활용해 도로교통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연회를 통해 얻은 결과를 내년 시내 주요 간선도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 기업들과 함께 연구할 계획이다.
시는 자율차 선도도시를 목표로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최근 정부의 ‘미래차 디지털 융합산업 실증플랫폼 구축사업’에 선정돼 미래차 디지털 융합지원센터 구축, 데이터베이스 운영시스템 구축 등에 나서게 된다. 시는 또 도심지 실증을 위해 수성알파시티, 테크노폴리스, 대구국가산단, 달성2차산업단지의 도로 및 교차로 등에 도심지 실증환경을 조성중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