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사진) 미국 대통령이 내년 2월 예정된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그가 직접 올림픽 보이콧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회담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검토 여부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우리가 검토하고 있는 사안”이라고 답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 등이 보도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 방안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 관행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이란 올림픽에 선수단만 보내고 정부나 정치권 인사들로 꾸려진 사절단을 파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미 정치권에서 여야를 가리지 않고 외교적 보이콧 요구가 강해지고 있는 데다 바이든 대통령 스스로 중국의 인권 문제를 심각하게 여겨왔다는 점에서 이 방안은 실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백악관 내에서도 외교적 보이콧에 대한 의견 일치가 이뤄지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외교적 보이콧 승인 시점을 이달 말로 예측했다.
실제로 외교적 보이콧이 최종 결정되면 내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 확정에 앞서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려는 중국의 구상이 어그러질 수 있다.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은 서방 진영에 가이드라인으로 여겨져 연쇄적인 보이콧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7월 유럽의회는 홍콩, 티베트, 신장 위구르의 인권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외교적 보이콧을 권고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으며, 영국 하원도 같은 달 15일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보이콧한다는 결의안을 여야 합의로 통과시켰다.
베이징 올림픽을 종전선언 등 남북, 북·미 관계 개선의 모멘텀으로 삼으려는 한국 정부의 구상에도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종전선언을 비핵화 대화의 입구로 설정한 정부는 평창 동계올림픽 때처럼 베이징 올림픽을 화해의 계기 중 하나로 삼으려는 의지를 보여왔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