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추진하는 ‘반문(反文) 빅텐트’에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난항이 빚어지고 있다.
윤 후보는 김종인·김병준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 ‘3김(金) 삼각축’을 빅텐트의 구심점으로 구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김 전 위원장은 “기구에 사람 몇 들어간다고 국민통합이 되는 게 아니다”며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는 상황이다.
윤 후보는 선거대책위원회에서 독립된 후보 직속 기구로 국민통합위원회의 신설을 밀어붙이고 있다.
윤 후보 측 관계자는 18일 “중앙선대위와 맞먹는 또 하나의 다른 선대위”라며 “합리적 진보와 호남세력, 우리를 지지하지 않는 분들까지 포섭하고 설득하기 위한 선대위”라고 설명했다.
윤 후보는 김한길 전 대표를 국민통합위 위원장으로 영입하면서 호남·중도로의 외연을 확장하겠다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윤 후보는 김 전 대표뿐 아니라 노무현정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냈던 대표적 친노·반문 인사인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의 영입도 추진하고 있다.
윤 후보의 빅텐트 구상에 김 전 위원장의 반대가 변수로 떠올랐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도 부정적이다. 하지만 김한길 전 대표의 영입에 대해서는 이날 “호남 지지율을 봐야 한다”며 “앞으로 계속 지켜봐야할 문제”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엇갈린 의견을 내놨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김한길 전 대표 영입에 대해 “호남 정통 정치인을 영입함으로써 지지층 확장을 꾀할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선거의 기본은 우리 편을 많이 모으고 상대편을 흐트러지게 만드는 것”이라며 “‘반문’이라는 스탠스를 잘 잡았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반면 부정적 전망도 있다. 이준한 인천대 정외과 교수는 “김한길 전 대표가 현재까지 민주당의 반주류·비주류를 이끌면서 여전히 영향력을 갖고 있으면 몰라도, 지금 상황에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는 “친노 지지층 중에서 김병준 전 위원장에 대해 반감을 갖는 사람들도 많으므로 좋은 카드가 아닐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이번 대선은 어느 때보다도 2030 세대가 중요한 대선이기 때문에 젊은 진보 인사 영입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며 “(빅텐트 구상은) 과거 선거 문법을 답습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