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사진)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전국민재난지원금 추가 지원을 철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후보는 또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서도 특검을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정면 돌파를 선언했다.
이 후보가 거세게 드라이브를 걸었던 재난지원금 추가 지원에서 한발 물러서고, 특검 도입을 강력히 요청하는 등 방향 급선회를 시도한 것은 30%대 ‘박스권’ 지지율에서 벗어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재난지원금 철회와 특검 도입에 대한 여론이 높자 이를 과감히 수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후보는 18일 페이스북에 “전국민재난지원금을 고집하지 않겠다”고 전격적으로 밝혔다. 이어 “재난지원금 합의가 어렵다면 소상공인·자영업자 피해에 대해서라도 시급히 지원에 나서야 한다”면서 “전국민재난지원금 지급 논의는 추후에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9일 재난지원금 추가지원 추진 의사를 밝힌 지 약 3주 만에 입장을 선회한 것이다.
이 후보는 재난지원금 철회의 표면적 이유로 야당과 정부의 반대를 꼽았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저의 설득력 부족 문제일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텐데 예산집행, 야당 반대, 정부 입장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신속하게 지원해야 한다는 대의가 훼손될 수도 있겠다는 우려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후보가 부정적 여론에 후퇴를 결정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TBS 의뢰로 지난 5∼6일 전국 성인 10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0.1%가 ‘재정 부담’을 이유로 재난지원금 추가지원에 반대했다.
이 후보는 대장동 의혹 특검에 대해서도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 후보는 이날 공개된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곧 검찰의 중간수사 결과가 나올 텐데 특검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아니겠냐”며 “제가 특검을 강력히 요구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관훈토론회에서 ‘조건부 수용의사’를 밝혔던 데서 강도가 더 높아진 것이다. 이 후보는 “조건을 붙이지 않고 아무 때나 여야가 합의해서 특검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그렇게 하는 게 저의 무고함도 재차 확인하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두 차례 국정감사 출석 등으로 국면 전환을 시도했으나 의심의 올가미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특검 강력 요구’를 택한 것이다.
이 후보 측 관계자는 “특검이 제대로 수사하면 대장동 의혹의 본질은 국민의힘과 토건세력의 부정한 결탁에 있다는 게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의 특검 수용 의사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도 거리낄 게 없다는 입장이다. 윤 후보는 “특정 사람들에게 1조원에 가까운 이익이 돌아갔기 때문에 국민 대다수가 특검을 거론하고 있다”며 “(특검을) 받아야 국민이 선거를 할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정현수 강보현 기자 jukebox@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