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당국, 위드 코로나도 오판… 일상회복 중단만은 막아야

입력 2021-11-19 04:05
이번에도 준비할 시간은 많았다. 방역 당국이 브리핑에서 위드 코로나 방침을 처음 언급한 건 8월 20일이다. 11월 들어 일상회복이 시작됐으니 두 달 반쯤 여유가 있었다. 정부는 일찌감치 11월을 집단면역 목표 시기로 잡은 터라 이 무렵의 방역 전환은 백신 접종이 시작된 연초부터 예고된 거였다. 짧게는 두 달, 길게는 열 달이나 대비할 시간이 있었지만, 위드 코로나는 시작한 지 보름여 만에 위기를 맞았다. 확진자 증가는 각오한 거라 해도 위·중증 및 사망자의 증가, 이들을 감당할 병상의 부족 사태는 당국의 준비 부족과 오판에서 비롯됐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18일 0시를 기준으로 하루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는 각각 3000명과 500명을 이틀 연속 넘었고, 서울의 중환자 병상은 80.9%가 찼다. 당국이 정한 위·중증 500명, 병상 가동률 75%의 마지노선을 모두 넘어섰다. 충분한 병상 확보는 일상회복을 시행하기 한참 전부터 대다수 전문가와 언론이 한목소리로 촉구했던 것이다. 정부는 확진자 5000명에도 문제가 없도록 병상을 확보했다고 했지만, 3000명이 되자마자 빨간불이 들어왔다. 뼈아픈 오판이다. 원인은 돌파감염과 위·중증화 위험을 간과한 데 있었다. 현재 위·중증 환자의 84%가 60대 이상이고, 고령층 돌파감염도 계속 늘고 있다. 백신을 먼저 맞은 이들의 면역력 약화를 우려해 부스터샷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제기됐는데, 정부는 접종 간격 6개월을 고집하다 17일에야 4~5개월로 단축했다. 고위험군을 위험에 방치한 결과가 됐다.

실기했던 백신 도입처럼 위드 코로나도 당국의 미흡한 대처로 좌초할 위험에 처했다. 백신이 없을 때 가혹한 거리두기를 감내하고, 일상회복을 위해 앞다퉈 백신을 맞은 국민에게 정부는 사과부터 해야 할 것이다. 어떻게든 일상회복의 중단 사태만은 막아야 한다. 병상 확보와 부스터샷 보급 속도를 높이고, 한계 상황인 의료인력 대책을 서둘러 수립하라. 민생 경제 흐름을 꺾지 않는 선에서 방역 지침도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다음 전선이 될 경구용 치료제만큼은 이런 오판과 실기가 없도록 치밀하게 준비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