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뒷담] 공적자금 민간위원 논란 ‘쉬쉬’… 어물쩍 넘어가는 금융위

입력 2021-11-18 04:06

지난 12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 신임 민간위원을 위촉한 금융위원회가 올해는 왠지 조용하다. 17일까지 신임 위원에 대한 보도자료를 내지 않았고, 금융위 소셜미디어(SNS)에도 언급이 없다. 공자위 홈페이지의 ‘위원 현황’ 게시판도 여전히 이전 위원들의 프로필로 채워져있다.

이는 매번 공정위 신임 민간위원 위촉식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보도자료까지 냈던 것과 대조적이다. 금융위는 2019년 11월13일 4명의 신임 위원을 위촉하며 행사 당일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이 사실을 알렸다. 금융위 공식 블로그에는 위원들의 ‘기념사진’까지 올리며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비단 2019년뿐 아니라 금융위는 민간위원이 바뀌는 2년마다 같은 홍보방식을 택했다.

금융위가 이례적으로 올해 위촉식을 ‘비공개’한 것은 민간위원에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한 인사가 내정됐다는 논란(국민일보 11월9일자 16면 보도)때문으로 보인다. 국회 정무위원장인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은 경제전문가 몫으로 성재호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교수를 추천했고, 금융위는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성 교수는 공적자금관리특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경제전문가 자격에 부합하지 않는다. 170조원에 달하는 공적자금을 관리하는 공자위 위원 인선에 대한 최종 책임이 있는 금융위가 국회 눈치를 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국회가 추천한 인물에 대한 논란이 일자 금융위는 당혹해했다는 후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보도가 나간 뒤 국회 쪽에서 금융위 측에 사전에 내정 사실이 유출된 데 대해 항의를 한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공자위 민간위원 위촉식 특성상 설명드릴 내용이 단순히 (위원을) 위촉했다는 내용이라 보도자료를 내지 않았다“면서 “앞으로도 별도로 공보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