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6일첫 화상 정상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은 상호 갈등을 회피하고, 평화롭게 공존·협력하자는 데 원칙적 공감대를 확인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최근 양국의 패권경쟁으로 자칫 신냉전 시대가 도래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어서 국제사회에 초미의 관심이었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큰 결실을 보진 못했지만, 일단 전략적 위험을 관리할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경쟁이 충돌로 옮겨가지 말아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 실제로 회담에서 두 정상은 그동안 첨예하게 대립해왔던 대만, 인권, 인도·태평양 문제 등 여러 분야에서 서로 정면충돌을 피하고 갈등 조정에 초점을 맞췄다. 양국 정상 간 회담 자체가 의미를 갖는 데다 회담 분위기도 비교적 괜찮았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양국 언론에서도 두 정상이 할 얘기는 충분히 하면서도, 건설적이고 효과적으로 회담을 진행했다는 긍정적 평가가 나오지만 실질적 합의가 없었다는 점은 아쉽다.
미·중이 첨예한 갈등에서 공존과 협력으로 복원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은 우리나라에도 긍정적이다. 우선 회담을 계기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꽉 막혔던 양국 교역에 해결의 실마리가 풀린다면, 우리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동안 우리의 제1, 2 교역국인 양국이 무역 갈등을 빚으면서 반도체 등 원자재 공급망 패권경쟁을 벌여 우리는 새우등이 터질 지경이었다. 따라서 경제적 실리외교를 통한 교역 확대 등 국익을 확대할 수 있도록 회담 결과와 이후 상황에 맞게 전략을 짜야 한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을 위해서도 우리는 이번 회담을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핵심 의제는 아니었지만, 북한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당장 종전선언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적극 추진하는 우리로서는 미·중 양국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남북 및 북·미 간 대화가 재개되고 종전선언의 결실을 맺는 등 한반도 평화 시계가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미·중 협력을 끌어내는 데 외교적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사설] 갈등 관리 나선 미·중 정상, 실리외교로 국익 챙겨야
입력 2021-11-17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