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환자 병상 가동률 80% 육박… 위협받는 수도권 의료체계

입력 2021-11-16 04:03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의료진이 15일 코로나19 중증환자 치료병상에서 환자들의 상태를 CCTV 화면으로 살펴보고 있다. 감염 확산세가 거세지며 전날 기준 수도권 중환자 병상 4개 중 3개 이상 채워진 상황으로 병상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 코로나19 확진자 비중이 연일 전국의 8할가량을 차지하면서 이 지역 중등증·중증 치료체계가 임계점으로 치닫고 있다. 비수도권 병상을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고, 병상 동원 행정명령도 미봉책에 머무는 상황이다. 권덕철 보건복지부장관은 부스터샷(추가 접종) 간격을 5개월보다 더 앞당길 수 있음을 시사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7~13일 전국의 중환자 병상 평균 가동률이 56%로 전주 대비 9.4% 포인트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수도권 가동률은 69.5%로 비수도권(34.9%)의 2배에 달했다.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가동률도 1주일 만에 5% 포인트 넘게 올랐다.

병상 소진 속도 역시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도권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의 78%가 가동 중이었다. 경기도로 한정하면 이 수치는 85.1%까지 높아졌다. 중증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도 서울과 인천에서 각각 78.6%, 78.5%로 나타나 앞서 비상계획 실시 기준의 하나로 제시된 75%를 이미 넘겼다.

정부가 지난 5일과 12일 차례로 병상 확보 행정명령을 내렸지만 장기적인 해결책은 아닌 데다 진행 속도 역시 더디다. 코로나19 치료에 집중하는 동안 다른 환자들의 진료에 차질을 빚는 ‘부수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병상 가동 준비를 마치는 데 통상 4주 이상 필요해 실제 확충 효과는 다음 달 초나 돼야 가시화할 전망이다.

수도권 환자를 비수도권에서 소화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중증도가 높을수록 이송 난도가 급격히 올라간다. 에크모(ECMO·체외막산소공급) 등의 장치를 달고 있는 위중증 환자를 옮기려면 특수 구급차 등 각종 장비와 인력이 필요하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인접 지역이라면 몰라도 권역을 뛰어넘어 몇 시간씩 이동하긴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성남시의료원 등 경기도 거점전담병원에 입원한 중환자들을 충청권 이남으로 옮기는 등 이송체계를 정비할 방침이다. 이창준 중앙사고수습본부 환자병상관리반장은 “수도권 중환자를 비수도권으로 이송하는 시스템, 상급종합병원과 거점전담병원 간 전원 등 근본적인 이송 시스템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역 조치를 다시 강화하는 방안과 관련해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내에서도 의견이 맞서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는 기본방역수칙을 연일 강조하고 있다. 앞서 사적모임 인원 제한 위반으로 입길에 오른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 13일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종로구청에 과태료를 납부했다.

부스터샷 접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권 장관은 이날 세종시 의료기관에서 부스터샷을 맞은 직후 기자들에게 “(부스터샷 간격을) 단축해야 한다는 복지부 입장을 질병관리청에 얘기했다”며 “질병청에서 전문가 의견을 검토해 간격을 5개월보다 빨리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위탁생산하는 노바백스 백신의 정식 허가심사에 착수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