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예방 접종 권고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해당 연령대 확진자 증가로 보다 적극적으로 접종률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안전성을 최우선적으로 감안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거세다.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에 따르면 11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은 77.4%다. 18세 이상으로 한정하면 89.8%가 접종을 마쳤다. 성인 10명 중 9명꼴로 접종 완료자란 의미다. 반면 소아·청소년 접종은 좀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12~17세 인구 276만8836명 중 이날 기준 1차 접종자는 80만196명(28.9%)이며 접종 완료자는 10만270명(3.6%)뿐이다. 12일 오후 6시를 끝으로 마감되는 12~15세의 사전예약 참여율은 31.6%에 그쳤다.
앞서 기저질환이 있는 등의 경우에만 청소년 접종을 ‘적극 권고’한다고 밝혔던 방역 당국은 최근 권고 수위를 높이고 있다. 전체 신규 확진자의 24% 이상이 10대일 만큼 유행의 중심 축이 청소년층으로 옮겨가고 있기 때문이다. 김기남 추진단 접종기획반장은 이날 “감염될 위험, 격리·치료(로 인한) 학업 손실 등 간접적 피해까지 고려하면 접종의 편익이 크다”며 참여를 당부했다.
일각에선 대상자와 학부모들에게 더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일례로 일선 학교에서 발송하는 안내문 등에 유독 ‘당사자의 선택’이란 문구가 강조돼있는데, 자율권을 보장하려는 이 같은 시도가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취지다.
다만 소아·청소년 의학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한 신중론도 여전히 강하다. 이들의 접종으로 기대할 수 있는 사회 전체적인 이득에 비해 당사자들이 얻는 개인적 이득이 불분명하다는 취지다. 김윤경 고대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소아 백신이 갖춰야 할 제1요건은 안전성”이라며 “기대여명이 길어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피해를 받을 기간도 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재 청소년 접종에 쓰이는 백신 제품이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도 지적된다. 노바백스가 채택한 합성항원 방식 등은 상대적으로 관련 데이터가 오랜 기간 축적된 반면 mRNA 플랫폼은 그 자체로 더 큰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의학적 면에서도 소아·청소년 접종의 이득이 위험을 상회하는 것은 맞는다”면서 “다만 어느 정도로 접종을 권고할지에 대해선 잘라 말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
방역 당국은 전문가 자문단 검토 등을 거쳐 이날 백신과의 인과성이 불충분한 심근염·심낭염 환자 125명을 의료비 지원 대상자로 확정했다. 해당 제도에 따른 지원금은 당초 1000만원 한도였으나 지난달 28일부터 3000만원으로 바뀌었다. 기존 한도에 따라 지원을 받았던 경우라도 소급적용으로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