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맞벌이 돌봄, 마을공동체 손에 맡긴다

입력 2021-11-12 04:07

제주도와 도교육청이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도와 도교육청은 11일 도청 삼다홀에서 ‘2021 제주도 교육행정협의회’를 열고 마을교육공동체 추진에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도는 돌봄 공간을 제공하고 교육청은 마을교육공동체 운영과 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협의회에서 도는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이나 읍면지역 마을만들기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민커뮤니티 공간을 확보해 돌봄 장소로 제공하는 방안이 우선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또 관련 사업에 수반되는 주민 역량 강화 교육에 마을교육공동체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켜 마을 돌봄의 필요성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제주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지원 조례에 따라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실질적인 지원과 전문인력 양성, 관계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등의 역할을 맡게 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맞벌이 비율은 60.4%(유배우자 15만8000가구 중 9만6000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일·가정 양립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돌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제주의 경우 돌봄교실 참여 대상이 저학년으로 제한된 데다 교실 부족으로 신청 학생마저 모두 수용하지 못 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도교육청이 학교 공간을 기초학력 목적에 우선 배치하면서 내년 돌봄교실은 올해보다 겨우 7실 늘어나는 데 그칠 전망이다.

도청 및 교육청 관계자는 “마을 돌봄의 필요성과 각 기관의 역할에 대해 큰 틀에서 합의를 했다”며 “도와 교육청이 제각각 추진해온 돌봄 사업을 상호 협력해 운영하기로 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해 학교 만으로는 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교육적, 사회적 서비스를 지역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마을이 가정과 학교 돌봄 공백을 채움으로써 아이들에 대한 교육복지서비스 제공은 물론 지역 일자리 창출, 마을 및 학교 살리기 효과도 갖는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