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0일 1박2일 일정으로 광주를 방문해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하고 ‘전두환 옹호’ 발언에 대해 사과했다. 경선 과정에서 불거진 전 전 대통령 두둔 발언과 ‘반려견 사과’ 사진 SNS 게시에 대해 비판이 쏟아지자 추후 광주를 찾아 사과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이를 이행한 것이다. 윤 후보는 5·18민주묘지 방명록에 ‘민주와 인권의 오월 정신 반듯이 세우겠습니다’라고 적었고 “저의 발언으로 상처 받은 모든 분께 머리 숙여 사과 드린다”고 밝혔다. 윤 후보가 잘못된 언행에 대해 사과하고 용서를 구한 것은 바람직하고 용기 있는 처신이다. 5·18 관련 시민단체들이 ‘가짜 사과’라며 반발해 추모탑 앞에서 발길을 돌려야 했지만 낙담할 일은 아니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윤 후보가 계속 진정성을 갖고 다가선다면 그들도 결국은 마음을 열고 화답할 것이라 믿는다.
윤 후보의 광주 방문이 악화된 호남 민심을 달래기 위한 일회성 행보에 그쳐서는 안 된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공유하고 피해자들의 아픔에 공감하는 자세를 앞으로 일관되게 유지해야 하는 이유다. 전두환 정권과 5·18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이미 일단락된 상태다. 군사 반란과 5·17 비상계엄으로 민주 헌정 질서를 유린하고 무고한 시민을 학살하면서까지 정권을 찬탈한 데다 폭압적 통치로 민주주의를 억압한 것은 그 어떤 공으로도 상쇄할 수 없는 과오다. 사면됐어도 역사적 책임까지 면제 받은 건 아니다. 광주민주화운동이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에도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불행한 과거를 딛고 역사적 화해와 통합을 이루는 것은 가해자의 진정한 반성과 사과, 피해자의 용서를 통해 가능한 법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방송에서 윤 후보에게 5·18민주화운동 헌법 전문 포함을 위한 노력, 5·18 진상 규명에 앞장설 것, 역사 왜곡에 대한 당 차원의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귀담아 들어야 할 지적이다. 국민의힘이 5공 정권의 후신이라는 원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과거 과오에 대한 합리화가 아니라 철저한 반성과 단절이라는 걸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사설] 윤석열의 5·18 광주 방문… 위기 모면용이어선 안 된다
입력 2021-11-11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