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요소수 확보 총력전… 군사용 풀고 경찰·국세청 동원 단속

입력 2021-11-09 04:05
중국발 요소수 품귀 사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8일 요소수 생산이 일부 중단된 울산 롯데정밀화학 요소수 공장에 적막감이 감돌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중국발 요소수 품귀 사태를 막기 위해 ‘물량 확보’ 총력전을 펼친다. 차량용 요소·요소수 불법유통을 단속해 국내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호주·베트남 등 해외는 물론 군(軍)과 산업계에서 들여올 수 있는 물량도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요소수 수급 안정에 모든 방법을 총동원해 달라”고 당부했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관계부처와 경유차 요소수 및 그 원료인 요소에 대한 매점매석 행위 등 불법유통 점검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정부합동단속반에는 환경부 공무원 53명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경찰청 등 31개조 108명이 투입된다.

단속 대상은 요소 수입업체 900여곳, 요소수 제조·수입업체 52곳, 중간유통사 100곳, 주요소 1만곳 등이다. 정부는 요소수 제조 기준 적합 여부와 가격담합, 과다 비축 행위 등을 집중 단속할 계획이다. 홍 차관은 “요소수 중간 유통망에서부터 주유소·마트·인터넷 등 최종 판매처까지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추적해 매점매석 행위 의심업체를 적발·단속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찰과 동행해 위법사항 발견 시 즉각 수사로 전환하고,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겠다고도 했다.

정부는 합동단속으로 요소수 관련 시장의 교란 행위를 원천 차단하는 동시에 국내외 가용 물량을 최대한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호주에서 수입하기로 한 요소수는 기존 2만ℓ에서 2만7000ℓ로 늘리고 베트남에서 요소 약 1만t을 추가로 들여오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요소 수입가격 급등을 막는 차원에서 현재 5~6.5%인 관세율은 0%로 낮출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군이 보유한 요소수 비축 물량 약 200t(20만여ℓ)을 민간에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군은 작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민간에 방출할 수 있는 물량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 중이다. 정부는 또 이달 14일 전후로 산업용 요소수가 차량에 적합한지 분석한 결과도 공개할 예정이다. 농도·순도가 다른 산업용 요소수가 차량에 주입됐을 때 이상 반응을 일으킬지 여부가 관건이다.

8일 오후 서울의 한 주유소에 소방차, 119구급차를 대상으로 요소수 무료나눔을 한다는 현수막이 걸려 있는 모습. 연합뉴스

다만 정부가 수급하는 요소·요소수 물량이 ‘임시 처방’에 그칠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홍 차관도 “호주에서 들여오는 요소수는 2만ℓ 기준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요소수 하루 평균 물량의 3~4% 수준”이라며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하더라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라고 인정했다. 중국으로부터 요소수 수입을 재개하지 못하면 대란 사태가 장기화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참모회의에서 ‘요소수 수급 안정’을 위한 발 빠른 대응을 주문했다. 그는 “요소수 매점매석을 철저히 단속하고 공공부문 여유분을 활용하는 등 국내 수급 물량 관리에 만전을 기하라”며 “해외 물량 확보를 위한 외교적 노력에도 총력을 다하라”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