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품귀 현상에 따른 물류대란이 임박했다는 경고음이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컨테이너를 싣고 나르는 화물차들이 운행을 중단하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이번 사태가 산업 전반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는 위기감도 한층 높아진 상태다. 정부는 비상대응 체제로 전환했지만 아직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는 5일 요소수 수급 불안 문제 해결을 위해 태스크포스(TF)팀을 가동시키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섰다. 안일환 경제수석을 팀장으로 한 청와대 TF에는 정책실과 국가안보실의 관련 비서관들이 총동원됐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대응 체계와 동일한 경제·외교가 종합된 대응 체계를 구축해 국내 산업계·물류업계 등과의 협력 체계, 중국 등 요소 생산국과의 외교협의 등 다양한 채널의 종합적인 활용을 기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요소수 품귀에 따른 물류 차질 문제가 산업 각 분야에서 이미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인천신항에선 요소수를 구하지 못한 화물차들이 잇따라 운행을 중단했다. 또 부두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리치 스태커’ 같은 하역 장비와 차량 등에 요소수가 사용되기 때문에 앞으로 물류 적체현상은 심화할 수 있다.
유통·택배업계에서도 배송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자체 배송 차량을 확보한 대형 유통업체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수도권 배송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위탁계약 배송업체는 줄줄이 운행을 중단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요소수 가격이 최근 10배 이상 크게 오른 탓이다.
전문가들은 실효성 있는 대책을 주문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요소수 비축 물량 등을 감안하면 한두 달 정도 버틸 수는 있을 것”이라며 “수입 다변화 같은 대책이 빨리 추진되지 못한다면 심각한 사태를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비축 물량을 물류 쪽으로 돌리는 등 연말까지 숨통은 틔워 놓으면서 장기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애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