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뒤늦게 요소수 수급난 해소를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등 총력 대응 모드에 돌입했다. 요소수 품귀 현상이 심각한 국면으로 치달을 경우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된 탓이다. 정부는 요소 공급 가능한 해외업체와 긴급수의계약을 맺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청와대는 4일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최근 국내 요소수 수급 상황을 점검했다. NSC 상임위원들은 국내에 요소수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관련국과의 외교적 협의를 강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날 회의에는 요소수 관련 논의를 위해 안일환 청와대 경제수석도 참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환경부, 기획재정부, 외교부 등 관계 부처 및 산업용 요소를 수입하는 업계와 긴급 간담회를 열었다. 산업부는 중국 정부에 수출검사를 신속하게 요구하기 위해 한국수입협회와 민간기업 7개사 등을 대상으로 관련 자료 협조를 요청했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수급대응지원센터를 통해 요소 수입업계의 수입계약 현황과 구체적인 지연 사유와 관련 자료도 확인 중이다.
업계는 중국의 요소 수출 검사 의무화 조치 이후 요소 수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중국 외 다른 국가에서 수입하는 방안 역시 물량 부족뿐 아니라 가격 상승 탓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중국 이외 수입처를 다변화하기 위한 해외 요소업체 관련 정보 제공과 해외 무역관 등을 통한 정부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공업용 요소 수입단가는 지난해 10월 t당 267달러에서 올해 9월 483달러로 치솟은 상태다.
정부는 국내 요소 수급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중국 정부에 지속적으로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다. 수입국 다변화를 위한 지원 방안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해외공관, 코트라 무역관, 수입협회 등을 통해 제3국 등 새 공급처를 발굴키로 했다. 공급 가능한 해외업체가 확인될 경우 조달청과의 긴급수의계약 등을 통해 정부 구매 또는 민간 구매 확대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매주 물류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요소수 품귀에 따른 물류 차질 상황을 집중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김경택 이상헌 기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