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안팎에선 대장동 윗선 규명을 향한 징검다리로 정 부실장을 거론한다. 성남시 정책보좌관과 경기도 정책실장을 지낸 정 부실장은 이 후보의 ‘복심’으로 불린다. 그는 4일 유동규(구속 기소)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검찰 압수수색(9월 29일)을 받기 전 전화통화했던 사실을 인정했다.
정 부실장은 “평소 알고 있던 유 전 본부장의 모습과 너무나 달라 직접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유 전 본부장에게 잘못이 있다면 감추지 말 것과 충실히 수사에 임할 것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정 부실장이 먼저 전화를 걸었고, 통화 시간은 5분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본부장은 당시 수사관들이 영장을 집행하려 하자 9층 창문 밖으로 휴대전화를 던져 증거 인멸을 시도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검찰의 강제 수사를 앞둔 상황에서 단순히 수사를 잘 받으라고 당부하기 위해 통화했다는 정 부실장의 해명은 통상적이지 않다는 시각이 많다. 두 사람이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에 대한 수사기관의 조사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 후보는 “(두 사람이) 그날 통화했다는 것을 나중에 들었다”고 말했다.
한 검찰 관계자는 “압수수색 직전 두 사람의 통화가 이뤄졌고 유 전 본부장이 휴대전화를 인멸하려는 정황을 보였던 만큼 정 부실장의 통화 내용과 기록 등도 조사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인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는 “당시 유 전 본부장과 통화한 사람이 한 사람 더 있다”고 주장했다.
황무성 초대 성남도시개발공사 사장에 대한 ‘사퇴 압박’ 의혹에 정 부실장이 관련돼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황 전 사장이 공개한 녹취록에 따르면 2015년 2월 유한기 전 공사 개발본부장은 황 전 사장에게 사표를 요구하며 “정도 그렇고, 유도 그렇고 양쪽 다 했다니까요”라고 말했다. 황 전 사장은 대화 맥락에서 ‘정’은 정 부실장을 의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부실장은 “유한기 전 본부장과 사퇴 문제를 논의한 바 없다”며 선을 그었지만 시민단체에 의해 이 후보와 함께 직권남용 등 혐의로 고발된 상태다.
대장동 의혹의 핵심인 배임 혐의에선 당시 성남시청의 의사결정 여부가 규명 대상으로 꼽힌다.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구속)씨는 “대장동 공모지침서 내 7가지 필수조항은 애초 성남시 정책이었다”고 주장했다. 법원이 김씨 배임 혐의가 일부 소명됐다고 인정한 상황에서 성남시가 공모지침 작성 등에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민철 이경원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