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기도 유동규에 뭐라고 했을까… 정진상 통화 인정

입력 2021-11-05 00:02 수정 2021-11-05 09:02
4일 검찰에 구속된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왼쪽)씨와 천화동인 4호 소유주 남욱(가운데) 변호사가 전날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출석하고 있다. 이들과 함께 대장동 사업 핵심 인물로 꼽히는 정민용(오른쪽) 변호사의 구속영장은 도망이나 증거인멸 우려가 없다는 이유로 기각됐다. 연합뉴스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 핵심 피의자들 신병 확보로 수사의 한고비를 넘긴 검찰은 이제 의혹의 전모를 규명하는 수준에 돌입할 전망이다. 특히 대장동 의혹의 주요 대목마다 등장하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정진상 선거대책위원회 비서실 부실장의 관여 정도를 규명하는 작업이 남은 과제로 평가된다. 검찰 관계자는 “결론을 예단하지 않고 증거를 바탕으로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검찰 안팎에선 대장동 윗선 규명을 향한 징검다리로 정 부실장을 거론한다. 성남시 정책보좌관과 경기도 정책실장을 지낸 정 부실장은 이 후보의 ‘복심’으로 불린다. 그는 4일 유동규(구속 기소)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검찰 압수수색(9월 29일)을 받기 전 전화통화했던 사실을 인정했다.

정 부실장은 “평소 알고 있던 유 전 본부장의 모습과 너무나 달라 직접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유 전 본부장에게 잘못이 있다면 감추지 말 것과 충실히 수사에 임할 것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정 부실장이 먼저 전화를 걸었고, 통화 시간은 5분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본부장은 당시 수사관들이 영장을 집행하려 하자 9층 창문 밖으로 휴대전화를 던져 증거 인멸을 시도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검찰의 강제 수사를 앞둔 상황에서 단순히 수사를 잘 받으라고 당부하기 위해 통화했다는 정 부실장의 해명은 통상적이지 않다는 시각이 많다. 두 사람이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에 대한 수사기관의 조사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 후보는 “(두 사람이) 그날 통화했다는 것을 나중에 들었다”고 말했다.

한 검찰 관계자는 “압수수색 직전 두 사람의 통화가 이뤄졌고 유 전 본부장이 휴대전화를 인멸하려는 정황을 보였던 만큼 정 부실장의 통화 내용과 기록 등도 조사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인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는 “당시 유 전 본부장과 통화한 사람이 한 사람 더 있다”고 주장했다.

황무성 초대 성남도시개발공사 사장에 대한 ‘사퇴 압박’ 의혹에 정 부실장이 관련돼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황 전 사장이 공개한 녹취록에 따르면 2015년 2월 유한기 전 공사 개발본부장은 황 전 사장에게 사표를 요구하며 “정도 그렇고, 유도 그렇고 양쪽 다 했다니까요”라고 말했다. 황 전 사장은 대화 맥락에서 ‘정’은 정 부실장을 의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부실장은 “유한기 전 본부장과 사퇴 문제를 논의한 바 없다”며 선을 그었지만 시민단체에 의해 이 후보와 함께 직권남용 등 혐의로 고발된 상태다.

대장동 의혹의 핵심인 배임 혐의에선 당시 성남시청의 의사결정 여부가 규명 대상으로 꼽힌다.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구속)씨는 “대장동 공모지침서 내 7가지 필수조항은 애초 성남시 정책이었다”고 주장했다. 법원이 김씨 배임 혐의가 일부 소명됐다고 인정한 상황에서 성남시가 공모지침 작성 등에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민철 이경원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