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2주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부가 입시학원과 스터디카페 등에 대한 방역 점검에 들어갔다. 정부가 수능을 2주 앞두고 시행하기로 예고했던 ‘수능 특별방역 기간’의 일환이다. 수험생과 수험생 가족에게는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며 외부 접촉을 최대한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종철 교육부 차관은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치러지는 두 번째 수능을 앞두고 코로나로 인해 수능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먼저 수험생이 밀집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국 320개 입시학원의 방역 상황을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관계부처와 지자체 협조를 받아 PC방, 노래방, 스터디카페 등의 방역도 들여다본다. 수능 이후 이어지는 대학별고사와 관련해 대학의 자체 방역계획과 사전 준비 상황도 확인한다. 시험 일주일을 앞둔 11일부터 전체 고교는 원격수업으로 전환해 수험생과 감독관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기로 했다.
교육부는 일반·격리·확진수험생으로 수험생을 분류해 일반수험생은 일반시험장, 격리수험생은 별도로 마련된 고사장, 확진수험생은 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에서 응시토록 했다. 이를 위해 지난달 27일 기준 전국에 일반시험장 1251곳, 별도시험장 112곳(620개 시험실), 병원·생활치료센터 30곳 244개 병상을 준비했다. 재택 치료를 받는 수험생은 공정한 시험 환경을 위해 수능 전에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로 배정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자가격리자의 시험장 이동은 자차 이용이 원칙이지만 필요한 경우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전환한 이후 학교 현장에서 학생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날 조짐을 보이자 교육부는 외부 접촉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교육부는 “수험생과 수험생 가족은 친구 간 소모임, 밀폐·밀집·밀접한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자제해달라”고 밝혔다. 만약 수험생이나 수험생 가족이 확진자와 밀접 접촉하거나 발열 등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보인다면 신속하게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보건소의 경우 수능 전날인 17일에는 수능 지원자에 대한 검사를 신속하게 하고 검사 시간도 오후 10시까지 연장한다. 수험생이 확진이나 자가격리 통보를 받으면 보건소에 수능 지원자임을 밝히고 관할 교육청에도 관련 내용을 통보해야 한다. 이 경우 수능 응시에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