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하루 사망자가 1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요양병원 등 감염 취약시설에서의 집단감염이 잇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민간 부문에서 자체적으로 ‘백신 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확산하는 데 대해 정부는 “타당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4일 0시 기준 일일 코로나19 사망자가 전일 대비 24명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12일(25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365명으로 전날보다 소폭 줄었지만 신규 확진자는 2482명으로 이틀 연속 2000명대 중반을 나타냈다.
사망자 증가는 최근 고령층·기저질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와 맞물려 있다. 상대적으로 일찍 백신을 맞은 탓에 면역 수준이 상당히 약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데다, 소수지만 여전히 접종받지 않은 고위험군도 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이날 보고된 사망자 24명은 전원 60대 이상이었으며, 이 중 단 6명만이 접종 완료자였다.
사망자가 한동안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확진자가 증가세인 가운데 감염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굵직한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 동두천의 한 정신병원에서는 지난 3일 이후로 환자와 종사자 70명이 무더기로 확진됐다. 용인의 요양병원, 서울 동대문구의 요양시설에서도 새 집단감염이 확인됐다.
방역 당국은 요양병원·시설의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앞당겨 시행하는 동시에 별도 요청이 있는 일부 상급종합병원에 대해서도 다음 주부터 추가접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김기남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기획반장은 “고령층이나 기저질환자, 집단시설 종사자 등 고위험군은 일정에 따라서 추가접종을 꼭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일부 기업이나 학교 등 민간 영역에서 접종 완료자를 우대하는 움직임이 이는 데 대해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접종 완료자 중심으로 대학 축제를 연다든지 하는 모습은 의학적 타당성을 갖춘 조치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채용 배제 같은 사례는 차별에 해당하는지 고용 관계법령 등을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신 패스 조치가 적용되는 헬스장이나 필라테스 숍과 같은 실내체육시설 종사자들은 임대료 등 피해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한실내체육시설총연합회는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를 상대로 34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한편 인도산 백신인 코백신이 전날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긴급사용승인을 받으면서 앞으론 해당 제품을 맞은 내국인들도 각종 백신 인센티브를 누릴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달부터 해외에서 WHO 승인 백신을 접종 완료한 내국인에게 국내 접종 완료자와 동일한 혜택을 제공한다.
세계 최초로 규제 당국의 문턱을 넘은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도 나왔다. 로이터와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외신은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이 미국 제약사 머크가 개발한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를 18세 이상에 한해 조건부 승인했다고 이날 전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