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방어를 위해 돈을 풀어왔던 ‘양적완화 시대’가 끝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일(현지시간)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시작을 선언했다.
이번 조치는 유동성 지원 규모를 서서히 줄여나가는 방식이어서 ‘돈 풀기 정책’이 당장 끝나는 건 아니다. 연준은 일단 제로 수준인 금리도 동결했다. 다만 코로나19 팬데믹 회복 과정에서 나타난 인플레이션 속도가 예상보다 가파른 것으로 나타난 데 따른 조치여서 금리 인상 시기가 앞당겨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내고 “지난해 12월 이후 경제 진전을 고려해 국채 100억 달러, 주택저당증권(MBS) 50억 달러씩 월간 순자산 매입 규모를 줄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기준금리는 현재의 0.00∼0.25%로 동결했다. 지난해 3월 이후 20개월째다.
미국은 지난해 3월 팬데믹 이후 경기 회복 지원을 위해 미 국채 800억 달러, MBS 400억 달러 등 매달 120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해 왔다. 이번 연준 발표대로 매달 150억 달러씩 채권 매입 규모를 줄이면 8개월 뒤 인위적 유동성 공급은 ‘제로(0)’가 된다.
연준은 테이퍼링을 시작할 만큼 경기가 소기의 목표에 도달했다고 판단했다. 실제 미국 경제는 최근 5개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달성하며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물가상승 속도가 연준을 움직이게 한 원동력으로 봤다. 실제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지난 9월 전년 동월 대비 3.6% 상승했다. 더 큰 문제는 공급망 병목현상이 계속돼 원자재, 에너지, 물류, 인력 등 전방위적 비용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자산 가격도 부담이 됐다. 현재 미국에서는 팬데믹으로 생겨난 신규 수요, 양적완화로 넘쳐난 유동성이 매매 가격과 임대료를 쌍끌이로 끌어올리며 최악의 부동산 시장을 만들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테이퍼링을 시작하기로 한 결정이 금리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는 직접적 신호는 아니다. 금리 인상을 위해서는 별도의 한층 엄격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과 긴축 정책을 곧 시작해야 할 만큼 매우 급한 상황은 아니라는 두 가지 메시지를 동시에 시장에 주려는 의도라고 풀이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반영하면서도 급격한 통화 정책 변화를 걱정해야 할 만한 분위기는 아니라는 신호를 보낸 것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 속도가 금리 인상 결정을 지속 압박할 것으로 보는 목소리도 작지 않다. 골드만삭스는 현재의 인플레이션이 내년 중반까지 지속할 것으로 보고, 내년 7월 금리 인상 시작을 예측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