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COP26 한·미, 한·일 정상회담 끝내 불발

입력 2021-11-03 04:07
문재인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정상회의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AP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 기간 중 이뤄질지 관심을 모았던 한·미, 한·일 정상회담이 결국 불발됐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일정이 빡빡했다는 이유를 들었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미국·일본과 각각 껄끄러운 문제를 안고 있어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못했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과는 종전선언 방법론에 대해 이견을 보이고 있다. 또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위안부·강제징용 등 과거사 문제를 놓고 강경 기조를 이어가는 상황이라 한·일 정상회담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당초 청와대는 지난 30~31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지난 1일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정상회의를 계기로 문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만나 종전선언에 대한 지지를 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이번 다자회의는 문 대통령이 지난 9월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을 언급한 이후 바이든 대통령과 처음으로 만나는 자리였다.

문 대통령은 이번 G20과 COP26 정상회의 기간 중 네 차례나 바이든 대통령과 조우했지만 공식 회담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유엔총회를 포함해 한·미 정상이 함께 참석한 세 차례의 다자회의에서 두 정상의 회담이 연거푸 무산된 것이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지금은 한·미 간 실무적인 대화들이 오가는 중”이라며 “두 정상이 굳이 만날 타이밍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무진 차원에서 종전선언을 비롯한 의제를 논의하는 단계라는 뜻이다. 미국은 종전선언의 순서나 시기, 조건을 놓고 한국 정부와 뜻이 다르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런 간극을 좁히기 전까지는 한·미 정상회담이 성사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일 정상회담도 이뤄지지 않았다. 기시다 총리는 일본의 선거 일정 때문에 G20 정상회의에는 화상으로 참여했지만, 2일 COP26 정상회의엔 직접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헝가리로 이동해 기시다 총리와 회담을 할 물리적 시간이 없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다만 과거사 문제를 놓고 큰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양국이 일정한 성과를 내야 하는 공식 회담을 일부러 피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이 주도한 ‘국제메탄서약 출범식’에 참석, 연설을 통해 “한국은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2030년까지 최소 30% 감축하는 내용의 국제메탄서약 가입국”이라며 “개도국이 메탄 배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정책 경험을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글래스고=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