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이 미국과 유럽을 방문해 현지 정·재계 인사들과 교류하며 ‘글로벌 스토리’ 경영을 본격화했다. 글로벌 스토리는 SK가 글로벌 현지 이해관계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윈-윈(Win-win)형 사업 모델’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개념이다.
2일 SK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달 27일부터 1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 등 정·재계 인사들을 잇따라 만나면서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
최 회장은 지난달 27일부터 이틀에 걸쳐 매코널 원내대표와 제임스 클라이번 민주당 하원 원내총무 등 공화·민주 양당 지도자들을 만나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SK그룹의 전략, 미국 내 친환경 사업 비전 등을 소개하고 의견을 나눴다. 최 회장은 “SK는 2030년 기준으로 전 세계 탄소감축 목표량(210억t)의 1%에 해당하는 2억t을 감축하기 위한 목표를 세우는 등 기후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2030년까지 미국에 투자할 520억 달러 가운데 절반 가량을 전기차 배터리와 수소, 에너지 솔루션 등 친환경 분야에 집중해 미국 내 탄소감축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테네시주 지역구의 공화당 마샤 블랙번, 빌 해거티 상원의원과도 만났다. 그는 “SK온이 이미 건설 중인 조지아 공장에 이어 포드(Ford)와 합작해 켄터키·테네시에 2027년까지 설립하기로 한 대규모 배터리 공장이 완공되면 3개 주에서 모두 1만1000여명에 이르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의회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또 최 회장은 하원 외교위원회 아태지역소위원장인 아미 베라 민주당 의원과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등 행정부 고위 인사들을 두루 만났다. 한·미 우호 증진, 바이오 등 미래사업 투자 활성화, 기후변화 대처 등 폭넓은 주제로 환담했다. 최 회장은 베라 의원에게 “SK는 미국에 본사를 둔 원료의약품 위탁생산 기업 SK팜테코 등을 통해 미국과의 바이오사업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최 회장은 1일 짐 팔리 포드 CEO와의 화상회의에서 켄터키 등에 들어서는 배터리 합작공장의 건설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다. 5박 6일간의 미국 일정을 마친 최 회장은 곧바로 헝가리로 이동해 유럽을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 순방단과 합류한다. 헝가리 상의회장 면담, 한국-비세그라드 그룹(헝가리·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 비즈니스 포럼 참석, 국빈만찬 참석 등 대한상의 회장으로서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최 회장은 2일 헝가리 코마롬에 자리한 SK온의 배터리 공장을 찾아 현지 배터리 사업 현황을 점검하고, 현지 구성원을 격려할 계획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