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민 등골 휘게 하는 물가 급등… 선제적 대응 시급하다

입력 2021-11-03 04:01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코로나19로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들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2% 상승했다. 이는 2012년 1월(3.3%) 이후 9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특히 체감 물가와 직결되는 생활물가지수는 4.6%나 급등해 서민 경제가 파탄 날 지경이다. 2011년 8월(5.2%) 이후 10년2개월 만의 최대 상승 폭이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체 460개 품목 중 소비자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실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석유류를 비롯해 공업제품과 통신비, 전기, 가스, 수도 등이 일제히 상승했다. 배추, 사과, 파 등 농산물은 조금 내렸지만 달걀, 돼지고기, 쇠고기 등 축산물은 크게 올랐다.

올 초부터 이어진 물가 상승은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2%대를 유지하다 10월 3%대로 급상승했다. 더 큰 문제는 이런 물가 고공행진이 좀처럼 멈출 것 같지 않다는 것이다. 원유를 포함해 철광석, 알루미늄 등 원자재 가격이 계속 오름세를 보이는 등 복합적인 상승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10월 통신비 지원에 따른 일시적 기저효과(0.7%포인트)를 제외할 경우 지난 9월(2.5%)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기저효과가 소멸하는 11월에도 국제유가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차질을 비롯한 불안 요인은 여전한 상황이다. 더구나 이달부터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조치가 시작되며 늘어난 외부 활동 수요가 물가를 더욱 끌어올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이날 물가 관계 차관회의에서 12일부터 정유사 직영 주유소와 알뜰 주유소에 유류세 인하분을 판매가격에 즉각 반영하도록 하고 자영 주유소에도 자발적인 가격 인하를 요청하기로 했다. 또 농축수산물 물가 안정을 위해서도 총력 대응키로 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효력이 발생할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그동안 코로나 방역에 집중하느라 국민 생활과 직결된 물가 잡기에 다소 소홀했던 측면이 없지 않다. 곧 김장철도 다가온다. 정부는 공포의 3%대 물가상승이 계속되지 않도록 면밀한 모니터링과 수급 여건 개선 등을 통해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물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생활물가 안정에 총력전을 펼쳐 서민들의 등골이 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을 써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