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 전화 줄잇는데… 지자체 ‘코로나 콜센터’ 존폐기로

입력 2021-10-29 04:06
지난 25일 서울 영등포구 보건소 4층에 마련된 영등포구 재난대책본부 상황실 모습. 상황실 직원들이 분주하게 코로나19 방역지침 안내 및 민원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전성필 기자

국민일보가 지난 25일 찾은 서울 영등포구 보건소 4층 프로그램실은 직원 9명의 전화 통화 소리로 가득 찼다. 이곳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재난안전대책본부 임시 상황실로 쓰이고 있다. 백신 접종 및 진단검사 관련 문의부터 자가격리자 안내, 각 의료기관과의 업무 조율 등을 담당한다.

이날 상황실에 근무하는 이모씨가 한 노인으로부터 “백신 추가 접종을 하고 싶다”는 문의 전화를 접수했다. 이씨가 예약 날짜를 확인해보려 했지만 노인은 잘 알아듣지 못해 자신의 주거지와 희망 병원 이름을 정확하게 말하지 못했다. 결국 이씨는 직접 노인의 신상정보를 검색해 확인한 뒤 인근 병원의 백신 보유 현황을 검색해 예약 날짜와 시간을 확정했다.

이씨는 노인에게 “어르신, 백신 접종 시간에 늦으시면 안 된다”고 3차례나 반복해 말한 뒤에야 통화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곧바로 걸려온 추가 접종 문의 전화에 이씨는 쉴 틈도 없이 다시 안내를 이어가야 했다. 이씨는 “백신 접종 초기에는 많으면 300통까지 한 사람이 처리할 정도로 문의가 많았다”며 “최근에는 추가 접종 등 새로운 방역지침 관련 문의가 늘었다”고 말했다.

각 지방자치단체 재난대책본부 상황실은 위드 코로나 시기에도 지속 운영될지 미지수다. 정부 지침이 확정되지 않은 탓이다. 반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더라도 새로운 지침이 나올 때마다 관련 문의는 크게 늘 것으로 전망된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코로나 발생 이후 약 2년간은 예비비를 통해 기간제 근로자를 고용하는 임시형태로 상황실을 운영했지만 향후에도 인력을 유지할지는 미정”이라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