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음식점 허가 총량제’와 ‘주4일 근로제’라는 논쟁적 이슈를 툭 던진 지 하루 만에 “당장 시행하려는 건 아니다”고 수습에 나섰다.
대선 행보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 후보가 현안에 소신을 쏟아내자 민주당 내부에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논쟁과 토론에 능한 이 후보가 장점을 극대화해 국민들이 듣고 싶어 했던 말을 콕 집어 꺼낼 것이라는 낙관론이 있다. 그러나 너무 가볍게 의견을 개진하다 ‘자책골’을 먹지 않을까 하는 걱정의 시선도 적지 않다.
이 후보는 28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1 로보월드’ 행사 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음식점 허가 총량제는 제가 성남시장 때 그런 고민을 잠깐 했었다는 말”이라며 “국가정책으로 공약화하고 시행하겠다는 얘기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가 전날 자영업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하도 식당을 열었다 망하고 해서 개미지옥 같다. 음식점 허가 총량제를 운영해볼까 하는 생각도 있다”라고 발언했던 것에 대해 자유시장경제 원리를 무시한 것이란 비판이 제기되자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이다.
이 후보는 한발 물러서긴 했으나 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소신은 재차 강조했다. 이 후보는 “아무 것이나 선택해 ‘망할’ 자유는 자유가 아니다”며 “불나방들이 촛불을 향해 모여드는 건 좋은데, 지나치게 가까이 가서 촛불에 타는 일은 막아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쟁력 없이 우후죽순 음식점이 생겼다 망하는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영업자들을 불나방에 비유한 것은 적절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또 달라붙었다.
이 후보는 주4일 근로제와 관련해서도 말을 주워 담았다. JTBC는 “이 후보가 ‘주4일제는 인간다운 삶을 위해 가급적 빨리해야 할 일’이라고 밝혔다”고 지난 27일 보도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지금 공약해서 국가정책으로 시행하기에는 이르다는 느낌이 든다”면서도 “다만 우리 사회가 (주4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안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 중진의원은 “후보가 논란이 될 만한 정책 문제를 당과 조율되지 않은 상황에서 얘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집권 여당 후보의 발언 하나하나는 당장 공약과 연관돼 해석될 수 있는 만큼 말을 아낄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다만 선대위 공백기에 일시적으로 발생한 현상이라는 의견도 있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선대위 조직이 아직 꾸려지지 않다보니 본인이 가진 문제의식을 여과 없이 제시하는 측면도 있다”며 “선대위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정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경선 상대였던 박용진 김두관 의원과 회동을 가졌다. 박 의원과 김 의원은 공동선대위원장을 맡기로 했다. 이 후보는 “운동장을 넓게 쓰겠다”며 “인사도 정책도 넓게 크게 가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다음 달 2일 송파구 KSPO돔에서 선대위 출범식을 연다.
고양=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