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800만명을 넘어섰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 격차 역시 156만7000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내건 문재인정부 임기 4년 동안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150만명 넘게 증가했다. 그 결과 전체 임금근로자에서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10명 중 4명꼴로 높아졌다.
26일 통계청의 ‘202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임금근로자는 2099만2000명으로 전년 대비 54만7000명(2.7%) 증가했다. 이 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64만6000명(8.6%) 증가한 806만6000명이었다. 반면 정규직 근로자는 같은 기간 0.7% 줄었다. 정규직은 2018년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6.3%에서 올해 38.4%로 뛰었다.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은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다.
임금 양극화는 더 심해졌다. 임금근로자 가운데 정규직의 월평균(올해 6~8월) 임금은 333만6000원으로 10만2000원 증가했지만 비정규직 임금은 176만9000원으로 5만8000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 격차는 전년보다 4만4000원 늘어난 156만7000원이었다. 상여금 격차도 커졌다. 정규직의 상여금 수혜율은 86.7%로 0.1% 포인트 상승했지만 비정규직의 상여금 수혜율은 35.7%로 1.9% 포인트 하락했다.
늘어난 비정규직 일자리는 정부 재정으로 떠받친 단기 공공일자리가 상당 부분 차지했다. 비정규직 중 한시적 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56만4000명 증가해 517만1000명에 달했다. 한시적 근로자 중 노인 일자리가 대부분인 기간제는 453만7000명으로 지난해보다 60만5000명 증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분야도 노인 일자리 사업, 돌봄 사업 등과 관련 있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비정규직은 60세 이상에서 27만명이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비정규직 내 연령대 비중으로 봐도 60세 이상이 가장 많은 29.8%를 차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성별은 여성이 1년 전보다 0.6% 포인트 높아진 55.7%로 남성(44.3%)보다 많았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