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가 향후 3년간 총 2만7000명 규모의 청년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했다. 배터리, 반도체, 바이오 등 SK가 주력하는 첨단산업분야에서 집중적으로 청년 인재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국무총리실과 SK그룹은 25일 경기도 이천 소재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에서 간담회를 열고 청년일자리 창출계획을 발표했다. SK그룹은 연간 6000명 수준의 기존 채용계획 규모를 매년 3000명씩 확대해 연간 9000명씩 3년간 총 2만7000명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또한 ‘청년 하이파이브(Hy-Five)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연간 400명씩 3년간 총 1200명의 우수 인재를 육성해 청년들의 일자리 찾기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는 국무총리실이 추진 중인 청년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인 ‘청년희망ON’의 일환으로, SK는 KT, 삼성, LG에 이어 네 번째로 참여하게 됐다. 총리실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KT(1만2000개), 삼성(3만개), LG(3만9000개), SK(2만7000개) 등이 향후 3년간 총 10만8000개의 일자리를 약속했으며, 다른 기업들과도 추가로 청년채용 계획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SK그룹은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전문직업인 교육을 지원하는 ‘SK 뉴스쿨(NEW SCHOOL)’,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청년 소셜이노베이터를 육성하는 ‘루키(LOOKIE)’, 청년 장애인의 자립과 성장을 위해 IT 교육을 지원하는 ‘SIAT’ 프로젝트 등을 통해 사회공헌활동을 지속해나갈 예정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의 ESG경영을 선도하고 있는 SK가 오늘 채용과 인턴십 운영 계획을 통해 보여준 큰 결단과 포부가 취업난에 빠진 우리 청년들에게 큰 희망이 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최태원 SK 회장도 “무엇보다 기업들이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 청년 일자리 문제의 해결책이라 생각한다”면서 “SK는 향후 3년간 미래 유망산업 위주로 청년 채용을 늘리고 앞으로도 미래를 대비하는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좋은 일자리를 계속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