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코앞에서 보란듯… 총파업 강행한 민주노총

입력 2021-10-21 04:06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 사거리에서 기습적으로 도로를 점거한 채 집회를 벌이고 있다. 민주노총의 대규모 집회 여파로 서울 도심 곳곳에서 극심한 교통 체증이 빚어졌다. 윤성호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정부의 거듭된 자제 요청과 경찰의 처벌 경고에도 20일 총파업과 기습 도심 집회를 강행했다.

코로나19 방역상황이 안정기로 접어들고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시행을 앞둔 시점에서 방역에 심각한 구멍이 될 수 있다는 비판 여론이 컸지만, 끝내 귀를 닫고 ‘마이웨이’를 택한 것이다.

민주노총은 오후 2시부터 서울 서대문구 서대문역 사거리를 비롯해 전국 14곳에서 동시다발적 집회를 개최했다. 주최 측 추산 2만7000명의 서울 집회 참가자들은 중구 서울시청과 태평로 일대, 을지로입구역, 종로구 종로3가 등지에 흩어져 있다 집회 시작 30분 전 경찰청 코앞인 서대문역 사거리에 결집했다. 순식간에 도로를 점거하고, 완전히 마비시킨 기습 시위였다.

정부는 계속해서 총파업 자제 요청과 함께 엄정 대처를 여러 차례 경고해왔지만, 민주노총은 결정을 번복하지 않았다. 청와대는 코로나19 확산 우려에도 민주노총이 총파업을 강행한 것과 관련해 “온 국민이 11월 단계적 일상회복을 준비하고 있고, 전 국민이 방역에 동참하는 상황을 감안해 대승적으로 최대한 파업을 자제해주길 바랐지만 안타까운 결과가 됐다”는 입장을 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8일 김부겸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파업 자제를 당부했음에도, 민주노총이 대규모 도심 집회를 강행한 데 대한 유감 표시다. 당시 문 대통령은 “방역수칙 위반 등 불법행위는 엄정히 처리하라”고 지시했다.

민주노총은 비정규직과 5인 미만 사업장의 차별 철폐, 노조 활동 권리 쟁취, 일자리 국가책임제 등을 파업의 명분으로 내세웠다. 위력 과시를 통해 대선 정국에서 노동 이슈를 전면에 부각하겠다는 의도도 있다.

양경수 위원장은 옥중서신을 통해 “사회가 전환되고, 정치권이 요동치는 지금이 우리의 요구를 실현할 때”라며 “우리가 주체가 돼 전체 노동자들과 함께 개척해야 한다. 110만 민주노총이 결심하면 가능하다”고 밝혔다. 불법집회를 주도하고 감염병예방법을 위반한 혐의로 수감된 상태에서도 강경 투쟁 일변도 기조를 분명히 한 것이다.

박장군 박세환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