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19일 국민일보와 김태년 의원실에서 공동 주최한 ‘반도체 패권전쟁과 K반도체 대응전략’ 포럼에서 반도체산업의 발전을 위해 산업 생태계를 개편하고 컨트롤타워를 세워야 한다는 구체적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과 대응방안’을 발표하고 “반도체는 자동차, 로봇, 통신 등 전 산업을 아우르는 범용 기반기술이다. 건전한 반도체 생태계를 위해선 반도체 기술과 사업을 통합해 관리할 수 있는 정부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시스템반도체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단장은 “반도체 산업의 70%인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 우리가 주 생산국이 아니고,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에서도 대만 TSMC가 압도적 강자다. 이 분야의 적극적 육성이 필요하다”면서 “반도체 패권전쟁은 결국 공급망을 더 확보하는 게 핵심이기 때문에 파운드리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키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반도체 산업의 기반이 되는 소재·부품·장비 투자에 힘써야 한다고 했다. 김 단장은 “한국은 소재·부품·장비 세 시장 모두에서 세 손가락에 들 만큼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데, 정작 이를 생산하는 기업들의 경쟁력은 높지 않다”면서 “한국이 반도체산업의 우위를 계속 유지하려면 인프라가 되는 소재·부품·장비에서도 발전이 있어야 한다. 최소한 세계 5위 안에 드는 장비회사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반도체 인력 확보도 중요과제로 제시했다. 김 단장은 “국내 반도체 인력이 2019년 대비 2029년에 1만5142명 부족하다는 보고가 있다. 우수 인력은 반도체산업의 중요 인프라”라고 역설했다.
여기에다 전 세계가 반도체 공급난에 시달리는 만큼 반도체 자체의 공급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종합토론에서 “반도체 회사들은 반도체를 수출하고, 국내 자동차와 전자 회사들은 다시 이를 수입해서 쓰는 데다 공급 우선순위에서도 밀리는 구조”라며 “한국은 반도체를 직접 생산하고 있음에도 산업들이 각각 시작해 따로 성장하면서 공급과 수요를 맞출 시기가 없었다. 지금이라도 국내의 반도체 공급과 수요를 적절히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은 “금융 측면에서 적자가 나더라도 기술·벤처를 집중 지원하는 중국의 커촹반(고도기술 관련 전문 주식거래소)처럼 이제 막 성장을 시작한 반도체 기업들이 투자를 받을 수 있는 증권시장을 설립하는 게 방법이 될 수 있다”며 “기술력을 보고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중국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붙잡을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양한주 정신영 기자 1week@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