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 멸종위기에 처한 국내 침엽수종의 쇠퇴도가 평균 32%로, 2년 전보다 더욱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개체 수와 분포면적 감소로 생육을 위협받는 침엽수종을 보전하기 위해 ‘제2차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종 보전·복원 대책’을 시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산림청은 2016년부터 구상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주목 눈잣나무 눈측백 눈향나무 등 7개 수종을 중점 보전대상으로 관리하고 있다. 7대 고산 침엽수종은 한라산 지리산 등 전국 31개 산지 약 1만2094㏊(국내 산림면적의 0.19%)에 걸쳐 370여만 그루가 생육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생존목과 고사목의 수, 나무에 달린 잎의 양과 나무줄기 형태 등을 1차 점검한 결과 구상나무림은 33%, 분비나무림은 31%, 가문비나무림은 40% 등 평균 32%의 입목쇠퇴도를 보였다. 이는 2년 전(26%)보다 6%포인트 더 쇠퇴한 것이다.
어린나무의 출현 빈도의 경우 구상나무림은 43.5%, 분비나무림 15%, 가문비나무림은 14.9%가 각각 감소했다. 쇠퇴도가 증가한 지역의 어린나무 출현 빈도 감소는 고산 침엽수종유지에 위협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정밀조사를 도입하고 장기 분포변화 예측 체계를 마련하는 등 고산 침엽수종 점검 체계를 고도화하기로 했다. 체계적인 복원을 위한 표준절차와 지침을 마련하고, 복원 소재의 국가 관리체계를 확립할 방침이다.
복원 소재는 유전 다양성 유지를 위해 철저한 이력 관리를 시행하고, 검증된 복원 소재의 안정된 공급을 위해 종자 수집·증식·공급에 이르기까지 국가에서 엄격히 관리한다. 전담 증식센터도 설치한다. 나무에서 떨어진 종자나 뿌리, 그루터기의 움싹 등 자연의 힘으로 후계림을 조성하는 ‘천연갱신’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한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이번 대책은 1차 대책을 좀 더 구체화해 실행에 착수하기 위한 정책 과제를 담았다”며 “고산 침엽수종의 쇠퇴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고산 침엽수종의 개체군 유지를 위해 지난 2019년부터 경북 봉화, 제주, 전북 무주에 8.6㏊ 규모의 보존원을 조성하고 1만3000여 그루의 후계목을 육성하고 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