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영국의 경제 전문가들이 내년에도 공급망 병목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8~12일 이코노미스트 6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이들은 공급망 병목 현상으로 인한 높은 인플레이션이 내년까지 미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고 보도했다.
응답자들이 예상한 12월 물가상승률 평균치는 5.25%다. 10월과 11월에도 비슷한 수치가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면 지난 1991년 초 이후 최장 기간 5% 이상의 물가상승률을 기록하는 것이다. 다이와캐피털 아메리카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이클 모란은 “공급망 병목, 노동력 부족, 초완화적 통화·재정 정책이 결합된 ‘퍼펙트 스톰’(초대형 복합 위기)”이라고 밝혔다.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내년 6월 3.4%, 내년 말 2.6%로 각각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지난해보다는 낮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전 10년간 평균인 1.8%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인플레이션 우려로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번 조사에서 올해 3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3.1%로 지난 7월 조사의 7.0%에서 하향 조정됐다. 4분기 성장률도 지난 7월 조사 때는 5.4%로 전망됐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4.8%로 낮아졌다. 마이클 브라운 비자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높은 물가상승률이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을 낮추고 있어 소비자 지출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 중 절반가량은 향후 12∼18개월간 경제성장의 가장 큰 위협으로 공급망 병목 현상을 꼽았다. 이들은 공급망 문제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자의 45%는 내년 하반기에 이르러 공급망 병목 현상이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 5명 중 1명은 경제성장 최대 위협으로 노동력 부족을, 8.2%는 코로나19를 꼽았다.
경제전문가들의 전망대로라면 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물가 억제를 위해 서둘러 금리를 올려야 할 것이라고 WSJ은 내다봤다. 전문가 5명 중 3명은 연준이 내년 말까지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답했고, 16%는 내년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전까지 첫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콘스탄스 헌터는 “2022년은 여러모로 복잡한 해가 될 것”이라며 “4% 내외로 경제 성장세는 매우 강할 것이지만 기업과 소비자들이 고물가 시대를 잘 헤쳐나가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영국 전문가들의 전망도 비슷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회계법인 딜로이트가 올해 3분기 영국 주요 기업 최고재무책임자(CFO) 92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7%는 전세계를 덮친 공급망 마비가 앞으로 1년은 이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또 최근 3개월 동안 실제로 공급망 문제를 겪었다는 응답은 59%에 달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