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7일 24시간 가동.”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공급망 대란을 해결하기 위해 새 조치를 꺼내 들었다. 연중무휴, 24시간 항만을 가동해 상품 등의 이동 속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민간부문에도 야간작업 확대 등 근무시간을 늘리도록 촉구했다. 또 민간부문이 공급망 병목현상 해결을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연방정부 차원의 압박을 취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물류업체와 트럭 노조, 상공회의소 관계자 등과 공급망 병목현상 해결을 위한 공동회의를 개최한 뒤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최경수 삼성전자 북미법인 대표도 참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로스앤젤레스 항구를 주7일 24시간 운영체제로 가동키로 했다”며 “이번 발표는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롱비치항은 3주 전부터 부분적으로 이런 조치를 시행 중이다. 이들 두 항구는 미국 컨테이너 트래픽의 40%를 처리하고 있다. 미 정부는 이번 조치로 컨테이너 하역 시간이 주당 60시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항만 운영자, 트럭운전사협회, 월마트, 페덱스, UPS, 타깃 등 민간부문 경영진도 불러 공급망 병목현상 해결을 위한 대응을 촉구했다. 미국 최대 소매업체인 월마트는 한가한 시간대 활용을 50% 더 늘리기로 약속했다. 미국 최대 배송업체인 페덱스와 UPS는 야간작업을 늘리기로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페덱스와 UPS는 미국 최대 배송업체로, 연중무휴 24시간 운영에 올인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품을) 업체 선반에 진열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럭 운전사 수를 늘리기 위해 연방정부가 상업용 운전면허증 발급을 지원키로 했다고 말했다. 또 백악관은 트럭 및 철도화물산업도 공급을 확장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전자제품 생산업체인 삼성전자와 대형 쇼핑센터를 운영하는 홈디포, 타깃도 물류대란 해소를 위해 근무시간을 늘리기로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공급망을 통한 자재와 상품 이동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민간부문도 필요하다. 사슬을 강화할 것”이라며 “괜히 공급망이라고 불리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방 지원이 필요하면 모든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 민간부문이 나서지 않는다면 그들에게 전화해 조치하도록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부문이 공급망 병목현상 해결을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연방 조치를 사용할 것을 암시한 것이라고 CNN은 설명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이번 조치는 공급망 대란이 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될 정도로 심각하고 기간도 길어지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경제 상당 부분이 팬데믹에서 회복되며 상품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반등하고 있지만 공급망 병목현상 등으로 비용이 치솟아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커지고 있다. 공급난 가중과 물가 상승 압력은 경기 회복세에도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연말 쇼핑기간까지 지금 상황이 지속한다면 지지율 하락세가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작용했다.
로이터는 “공급망 위기는 미국의 소비를 약화할 위협이 되고, 바이든 대통령에게 정치적 위험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