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자살 예방을 위해 자살사망자의 생전 심리를 분석해 자살 징후를 포착하고 병원 응급실을 찾은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례 관리를 하고 있지만 인력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13일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자살사망자에 대한 심리부검은 2016년 92명, 2017년 77명, 2018년 105명, 2019년 181명, 지난해 139명을 상대로 이뤄졌다. 지난해 전국에서 1만3195명의 자살사망자가 발생한 데 비해 심리부검 건수는 1%에 그친 것이다. 특히 10대 사망자에 대한 심리부검은 2016년 1명, 2019년 2명, 지난해 2명밖에 없었다.
자살사망자 관련 정보를 정리하는 인력도 부족하다.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에서 2018·2019년 집계된 총 2만6729건의 경찰 수사기록 자살사망자 데이터를 확인하고 정리하는 데 18명의 조사원이 참여했다. 올해는 1만5000건 이상의 데이터를 수집해 정리하는 데 12명의 조사원만 투입됐다.
응급실을 기반으로 자살시도자가 추후 극단적 선택을 하지 않도록 사후관리를 하는 자살 예방 사업도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 지난 8월 기준 전국 76개 응급실에서 195명이 사후관리 사업을 수행하고 있을 뿐이다. 복지부는 “사례관리 인력을 일부 병원에 지원하는 형태로 사업을 하다 보니 전국적인 확산에 한계가 있어 관리 사각지대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구상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사업총괄본부장은 “자살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살시도자에게 먼저 지원의 손길을 뻗는 선제적인 자살 예방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
심리부검 1년에 100여건뿐… 관리 인력 태부족
입력 2021-10-14 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