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2일 대장지구 개발사업 특혜 의혹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강조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청와대는 대장지구 논란이 불거진 이후 정치 개입 논란을 우려해 “청와대가 응답할 사안이 아니다”라는 기조를 유지해왔다. 그랬던 청와대는 지난 5일 “엄중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했고, 1주일 만에 문 대통령 명의로 “신속하게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는 입장이 나왔다.
청와대가 대장지구 관련 입장 수위를 점점 높이는 것은 ‘부동산 문제는 국민의 관심이 높은 사안이라 정면 돌파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한다.
문 대통령의 직접 메시지는 청와대 내부에서 이뤄졌던 3번째 심도 있는 논의 끝에 나왔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말 참모들로부터 ‘대장동 사건이 심상치 않다’는 취지의 보고를 받고 철저한 수사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일부 참모는 수사기관을 향한 문 대통령의 지시를 공개하자고 제안했다. 대장지구를 둘러싼 가짜뉴스가 퍼지는 상황에서 국민 혼란을 줄여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다만 정치적 오해를 우려해 청와대 차원의 공식 메시지는 불발됐다.
그러다 지난 3일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구속되면서 청와대 내부에서도 ‘더 이상 침묵을 지킬 수 없다’는 기류가 조성됐고,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이 진행 중이라 ‘사안을 엄중히 보고 있다’는 수준에서 입장이 나왔다.
문 대통령은 당시에도 참모들에게 ‘국민이 진실이 무엇인지 궁금해하고 있다. 빠른 수사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당부를 했다고 한다. 여당 경선이 지난 10일로 끝나면서 문 대통령은 가능한 한 빨리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수사의 필요성을 촉구하는 입장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문 대통령이 ‘철저하게, 실체적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언급한 것은 성역 없는 수사를 염두에 뒀다는 해석도 나온다. 정치권의 눈치를 보지 말고 부동산 특혜를 잡아내야 한다는 ‘원칙주의자’ 문 대통령의 성향이 반영됐다는 평가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장지구 논란은 정치 영역 이전에 부동산 문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투기 사태 당시 국민이 느꼈을 실망감을 반복하면 안 된다는 게 문 대통령의 의중”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이날 이재명 후보측으로부터 문 대통령과의 면담 요청이 있었다는 사실도 함께 공개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대권 주자들은 일제히 “부적절한 만남”이라고 비판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문 대통령이 대장동 게이트를 철저히 수사하라고 해놓고,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이 후보를 만나겠다는 것은 모순이고, 선거 중립을 지켜야 할 대통령으로서 매우 부적절한 처신”이라고 지적했다. 홍준표 의원도 페이스북 글을 통해 “특정당 후보와 비밀 회동을 하는 것은 대통령이 대선에 개입한다는 의혹을 받을 수 있으며, 대장동 비리를 공모해 은폐한다는 의혹도 받을 수 있다”며 “부디 잘못된 만남이 되지 않기를 거듭 부탁드린다”고 했다.
박세환 백상진 기자 foryou@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