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13일 이낙연 전 대표 측이 제기한 ‘무효표 논란’을 매듭짓기로 했다. 이 전 대표 측이 요구하는 당무위원회 소집 요구를 수용해 경선 불복 논란을 끝내겠다는 것이다. 송영길 대표가 “결과에 승복해야 한다”고 밝힌 만큼 이 전 대표 측의 이의제기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12일 “이 전 대표 측의 당무위 소집 요구에 응해서 유권해석을 받는 절차를 당무위에서 진행할 것”이라며 “앞서 당 선거관리위원회에서 (무효 투표에 대한) 유권해석을 한 바 있지만, 추가 요구가 있기 때문에 당무위를 소집해서 의결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애초 이 전 대표 측이 대선 경선 과정에서 중도 사퇴자 표의 무효 처리를 두고 이의제기를 한 것을 최고위원회의에서 처리하겠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당 지도부는 당 분열 상황을 수습하는 차원에서라도 이 전 대표 측의 당무위 소집 요구 입장을 반영해 이번 논란을 최종해석권한이 있는 당무위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고 수석대변인은 “(당무위 소집에) 굳이 시간을 끌 이유가 없다는 취지”라며 “당무위 소집에 최고위원들도 전원 동의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의 이의제기가 당무위에서 인용될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송 대표는 TBS 라디오에서 “선관위원들이 전원 일치로 당헌·당규에 따라 무효표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결론이 났다”며 “이것은 (이 전 대표가) 정치적으로 승복해야 할 상황이다. 정세균, 김두관 후보가 이미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한 상태”라고 말했다.
송 대표는 “사실상 지금 이 후보가 11% 이상 이긴 것 아니냐”며 이 전 대표의 대변인 시절 발언까지 언급하며 경선 승복을 촉구했다.
송 대표는 “‘후보자가 사퇴한 경우 후보자에 대한 투표는 무효로 처리한다’는 규정은 18대, 19대 대선 때도 있었고 20대 대선에서는 더 확고해졌다”며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 유종근 후보의 (득표를) 무효표로 하면서 당시 민주당 대변인이었던 이낙연 대변인께서 ‘아쉬운 일’이라고 발표했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