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이 잦았던 중국 북부지방에 최근 이례적인 폭우가 내려 홍수 피해가 속출했다. 중국의 재난은 통상 남쪽엔 홍수가, 북쪽엔 가뭄이 자주 드는 ‘남로북한’의 양상을 보였는데 올해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특히 비 피해가 큰 산시(山西)성은 중국의 주요 석탄 생산지여서 전력난이 가중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2일 중국 응급관리부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허난성을 시작으로 쓰촨성, 산시(山西)성, 허베이성에 많은 비가 내렸고 8월엔 후베이성과 산시(陝西)성에 폭우가 이어졌다. 산시(山西)성의 10월 월평균 강수량은 31.1㎜에 불과했지만 지난 2~7일 계속 내리면서 성 전체 59곳 기상관측소의 일일 강수량이 개소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시성 응급관리청은 이번 비로 175만명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고 12만여명이 긴급대피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산시성에도 평년 대비 60% 이상 많은 비가 내려 60년 만에 최고 강수량을 찍었다.
런궈위 중국지질대 교수는 “중·고위도 지역의 환류 반경이 크게 변하면서 차갑고 따뜻한 공기의 남북 교류가 한층 격렬하고 빈번해졌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의 올해 1~3분기 자연재해에 따른 직접적인 피해액은 2864억 위안(53조원)으로 집계됐다. 피해액의 85%가 3분기에 발생했다.
중국 최대 석탄 생산지인 산시(山西)성에선 폭우 탓에 탄광 682개 중 60곳이 폐쇄됐거나 가동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수리 중인 4개 탄광의 연간 석탄 생산량은 360만t 규모다.
석탄 선물 가격은 연이틀 급등세를 보였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석탄 선물 가격은 전날 12% 급등한 데 이어 이날도 한때 7.1% 오르면서 역대 최고가인 t당 1507.8위안(28만원)에 거래됐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앞으로 석탄화력발전을 통해 얻은 전기는 100% 시장 거래를 통해 공급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는 70%에 대해서만 시장 가격을 적용하고, 나머지는 고정 가격에 공급되고 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