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대장동 이슈를 정면돌파하는 길을 택했다. 경선 종료 직후부터 경기지사직을 내려놓고 당을 중심으로 이슈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지만 이 후보의 애초 결심을 돌리지는 못했다. 야권 공세에 대장동 국감을 회피한다는 인상을 남기기보다는 특유의 저돌적인 이미지를 이어가는 편이 낫다고 본 것이다. 이에 따라 지사직 사퇴 시점은 경기도 국감이 끝난 후 다시 논의될 전망이다.
이 후보는 12일 오후 예정에 없던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지사로서 할 수 있는 범위까지 최대한 책임을 다한다는 제 기본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원래 계획대로 국감을 정상적으로 수감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송영길 대표가 조속한 지사직 사퇴와 대통령 예비후보 등록을 강하게 요청했지만 이 후보의 기존 입장을 돌리진 못한 것이다. 이재명캠프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 지사는 당 지도부의 제안을 두고 이날 오전까지도 고심을 거듭했다고 한다. 한 캠프 핵심관계자는 “이 후보가 여러 경로로 의견을 수렴했는데, 캠프 내에서도 찬반 의견이 분분해서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모습이었다”고 전했다.
결국 이 후보는 원칙을 지키는 쪽을 선택했다. 이 후보는 그간 18일과 20일로 예정된 경기도 국감을 피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왔었다. 이런 상황에서 말을 번복하면 되레 야당에 공격의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가 줄곧 강조해 왔던 경기도민에 대한 도의, 책임감이라는 측면에서도 지사직 조기사퇴는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이 후보의 자신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는 “대장동 사업의 구체적 내용과 실적을 설명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는 대장지구 개발사업이 민관 합동으로 진행된 과정과 5503억원 환수 성과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내놨다. 이 후보는 “앞으로 다시는 인허가권 행사에 따른 불로소득 개발이익이 특정인 입에 돌아가지 않도록 개발이익 완전국민환수제를 정착시키는 거로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의혹에 대해서는 지난 4일에 이어 관리책임을 인정하며 재차 사과했다.
민주당은 즉각 지원사격에 나섰다. 신현영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 후보는 국감에 정정당당히 임한다”며 “정쟁국감, 생떼국감을 벌이는 국민의힘은 자성하라”고 촉구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 후보의 결정을 평가절하했다. 허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끝까지 궤변을 늘어놓으며 국민과 싸우겠다는 선전포고였을 뿐”이라고 비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