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도 ESG 바람 “환경·복지·주민참여가 경쟁력 좌우”

입력 2021-10-13 04:02

지방정부에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바람이 불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폐기물 관리 등 환경 문제와 교육·복지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체장의 의지와 주민 참여가 행정의 경쟁력 요소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ESG행복경제연구소는 지난 5일 국내 최초로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ESG 평가등급을 발표했다. 서울 양천구가 평점 87.76점(A등급)으로 종합 등급에서 1위를 차지했고 대구 달서구, 전북 장수군 임실군, 서울 노원구 서초구, 부산 기장군 수영구, 강원 원주시 등이 상위 10위에 올랐다. 부문별로는 환경에서 양천구(S등급·91.1점), 사회에서 울주군(S등급·92.3점), 거버넌스에서 서울 성동구(S등급·94.6점)가 최고 득점을 얻었다.

종합 및 환경부문 1위에 오른 양천구는 가중치가 가장 높은 환경부문에서 생활에너지 절약, 주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 및 지역녹지 만족도 지표 등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울주군은 지역안전등급, 코로나19 대응, 건강관련 삶의질, 교통문화 지수, 문화기반 시설수 등에서 고득점을 받았고 성동구는 공약완료율, 재정건전성, 지역 의회활동 및 대외기관 평가 등에서 강점을 보였다.

서울시 자치구 평가를 보면 종합등급에서 양천구, 노원구, 서초구가 A등급을 받았고 부문별로는 환경부문에서 양천구, 사회부문에서는 구로구, 거버넌스 부문에서 성동구, 동작구, 종로구 등이 S등급을 받았다.

이번 평가는 2020~2021년 상반기 기초지자체의 ESG 중요성 이슈를 분석한 총 51개 평가지표(정량 45, 심층 6)를 통해 각 광역자치단체 산하 기초지자체 간 수준을 상대평가했다. 종합등급은 부문별 평점에 가중치(환경 0.5, 사회 0.3, 거버넌스 0.2)를 부여한 점수를 5단계 등급(S 최우수, A 우수, C 보통, D 미흡)으로 분류했다. 김부열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ESG의 취지와 해외사례를 볼때 공기업 및 지방정부에 대한 ESG평가는 행정의 연계성과 시정 성과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녹색서울시민위원회와 함께 ‘2050 탄소중립 도시달성을 위한 서울형 ESG 지표’를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열었다. 시는 기업에서 필수 요소로 다루는 ESG경영을 시정에 도입해 구체적 실행계획을 도출하고, 환경문제 해결 등 장기적으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성동구는 오는 15~17일 ‘ESG시대, 소셜벤처가 답하다’라는 주제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소셜벤처의 성과를 공유하고 소통하기 위해 서울숲 언더스탠드에비뉴 일대에서 ‘소셜벤처 EXPO’를 개최한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12일 “ESG시대는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소셜벤처와 사회혁신가들의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력이 바로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