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드 코로나’ 민관 합동기구 로드맵 정밀하게 마련해야

입력 2021-10-12 04:03
위드 코로나 시대를 논의할 정부의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가 내일 출범한다. 멀게만 느껴졌던 위드 코로나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음을 실감한다. 정부는 그 출발점을 11월 9일로 잡았다. 전 국민의 70%가 백신 접종을 마칠 것으로 예상되는 오는 25일을 기준으로 항체가 형성되는 2주 후가 되는 날이어서다.

11일 0시 현재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은 3044만여명으로 전체 인구의 59.3%, 18세 이상 인구의 68.9%에 이른다. 1차 접종은 전체 인구의 77.7%, 18세 이상 인구의 90.4%가 마쳤다. 지금 추세가 이어질 경우 오는 25일 혹은 그 이전에 전 국민 70% 접종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접종률이 올라가면 그에 맞게 방역체계와 사회적 거리두기를 재조정하는 것은 필연이다. 유럽 각국은 위드 코로나를 시행하면서 외국인의 입국 제한을 대폭 완화하는 등 빗장을 풀었다. 식당 등의 영업 제한도 해제했다. 위드 코로나 시행 후 우리 모습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게다. 무엇보다 코로나 시대에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게 더 이상 선의의 피해를 감수토록 하는 일이 없도록 정밀하게 로드맵을 짜야 한다.

우려스러운 것은 위드 코로나 시행 초기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인한 신규 확진자 폭증이다. 유럽 여러 나라와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 우리보다 앞서 위드 코로나를 시행 중인 거의 모든 나라에서 이랬다. 전체 인구의 83%가 접종을 마친 싱가포르의 경우 최근 연 이틀 최다 확진 기록을 갈아치웠다. 어떤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이들 나라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특히 신규 확진자 대부분이 미접종자에서 나오는 만큼 특단의 미접종자 관리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백신 패스 도입도 서두를 필요가 있다. 단, 미접종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방향이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