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개발사업’을 이끌어온 성남도시개발공사(성남도개공) 직원들이 해당 사업에 대해 “잘 모르는 일”이라며 거리를 두는 모양새다. 지금껏 “모범적 공익사업”이라며 자찬해오던 것과 달라진 모습이다. 검찰 수사 본격화로 대장동 사업의 문제점이 드러나자 발을 빼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장동 개발 당시 핵심 사업부서에 소속됐던 성남도개공 직원 A씨는 4일 대장동 사업에 대해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거짓인지 몰라 아무 말씀을 못 드린다”며 극도로 말을 아꼈다. A씨는 전날 구속된 유동규 전 성남도개공 기획본부장의 ‘별동대’로 불린 전략사업팀과 인허가 등 실무를 처리한 개발사업1처를 넘나들며 대장동 사업을 추진해왔다.
성남도개공이 ‘택지 분양가 초과이익 환수 조항’을 제외해 화천대유 등 민간에 특혜를 준 것 아니냐는 질문에도 A씨는 “내가 아는 바도 없고, 검찰수사 중이니까 기다렸으면 좋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단 사업 초창기 과도한 민간 수익에 대한 내부 우려가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회사 내엔 반회사적인 성향의 인사들이 늘 있기 마련 아니냐”며 부인하지 않았다. 개발사업1처 소속 당시 업무에 대해선 “그곳에선 인허가 업무 위주로만 해서 제가 뭐 다르게 말씀드릴 것도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유 전 본부장이 구속됐으니 거기에서 밝혀질 것이라고 본다.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대장동 사업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왔던 직원들도 침묵을 지키는 분위기다. 성남도개공 관계자는 “직원들이 나머지는 검찰이 밝힐 몫이라는 데 대체로 공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사업을 주도한 이재명 경기지사의 대선 본선 진출이 유력해지면서 직원들이 위축된 측면도 있다”고도 했다.
최근까지 해당 사업을 대표 성과로 내세웠던 분위기와는 큰 차이다. 성남도개공은 2017년 경영평가 보고서에서 성남시로부터 포상받은 사실을 거론하며 ‘사업이익 5550억원의 사회 환원, 전국 최초 결합 개발사업의 성공적 추진’이 기대된다고 자평했다. A씨도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기 전까지만 해도 주변에 “사업 자체는 전혀 문제 될 게 없다”며 자신감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유 전 본부장 구속으로 대장동 사업 전반에 대한 재평가가 불가피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부동산학회장인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는 “구체적인 사업구조가 드러나기 전까진 괜찮은 사업 모델로 평가됐을지 몰라도, 과도한 민간배당과 위법성이 드러난 이상 모범사업으로 보기는 힘들어졌다”고 평가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