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대장지구 개발 의혹의 ‘키맨’으로 지목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구속되면서 이재명 경기지사 측근들의 부동산 관련 구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서울중앙지법은 3일 유 전 본부장에 대해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유 전 본부장은 대장동 개발 사업을 추진하면서 시행사인 화천대유자산관리에 수천억원대의 이익이 돌아가게 하고 그 대가로 11억원의 수익금을 나눠받았다는 혐의 등을 받고 있다.
유 전 본부장과 이 지사 모두 서로 측근이 아니라고 부인하고 있다. 이 지사는 이날 경기도의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유 전 본부장은 측근 그룹이 아니고, 거기에 못 낀다”며 “모호한 개념으로 공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그러나 경기 지역 리모델링 사업 조합장이었던 유 전 본부장이 이 지사의 성남시장 시절과 도지사 시절 산하기관 본부장과 경기관광공사 사장 등을 역임했기 때문에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당장 유력 대권 경쟁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유 전 본부장의 구속영장 발부 소식에 “드디어 ‘대장동 게이트’의 꼬리가 잡혔다”며 “꼬리 잡힌 이재명 지사는 즉각 사퇴하고 특검 수사를 자청하라”고 공세를 펼쳤다.
앞서 이 지사의 핵심 정책인 ‘기본시리즈’를 설계한 이한주 전 경기연구원장도 부동산 투기 논란에 대선 캠프 정책본부장직을 사퇴했다. 지난 3월 경기도보에 고시된 공직자재산등록에 따르면 이 전 원장은 재건축을 추진 중인 서울 강남구 청담동 삼익아파트와 경기 성남시 분당구 소재 아파트 등 수십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 원장은 “투기가 아니다”라고 해명했지만 의혹 제기 당일 캠프에서 스스로 하차했다. 경찰은 ‘사법시험준비생모임(사준모)’가 이 전 원장을 부동산실명법 위반 혐의로 고발함에 따라 정식 수사에 착수한 상태다.
이 지사 캠프의 총괄부본부장을 맡고 있는 김용 전 경기도 대변인도 아파트 갭투자 논란에 휘말렸다. 김 부본부장은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9월 서울 여의도의 한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14억5000만원에 매입했다. 이후 전국의 아파트값이 폭등하면서 이 아파트의 실거래가는 30억원 수준으로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본부장은 “나는 1주택자이고, 땅이 있는 것도 아니다”고 투기 의혹을 전면 부인했지만 그동안 부동산 불로소득을 강하게 비판해온 이 지사의 측근이라는 점에서 야권으로부터 비판을 사고 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