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을 받는 화천대유자산관리와 주요 사건 관계인들의 사무실·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사건 핵심 관계인으로부터 녹취록을 확보했는데 대장동 개발사업에 관여했던 전직 성남도시개발공사 관계자 등에게 개발 수익 관련 자금 16억원 가량이 전달됐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수사에 따라 대선 정국에도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서울중앙지검 대장동 의혹 사건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훈 차장검사)은 29일 화천대유, 성남도시개발공사 등을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은 이날 검사 16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구성했다. 대장동 의혹 사건이 처음 배당된 지 6일 만이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공정하고 철저한 수사로 신속히 진실을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검찰은 천화동인 5호 소유주 정영학 회계사로부터 화천대유 김만배씨 등 핵심 관계자들과 관련된 녹취록 10여개를 전달받아 분석 중이다. 검찰은 지난 27일 정 회계사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해당 녹취록에는 성남도시개발공사에 근무했던 인물 등에게 개발 수익이 전달됐다는 내용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돈은 8억원, 5억원, 3억원으로 나눠 전달됐고, 전달 전 돈을 찍은 사진도 검찰에 제출됐다고 한다. 검찰은 압수수색 영장에 관련 녹취록 및 사진을 첨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녹취록 내용의 신빙성에 대해 검증에 나설 계획이다. 이 지사와 경기도청 등에서 일했던 주변 인물들도 대장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녹취록에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녹취록에 언급된 A씨는 “화천대유는 이번에 처음 들었고 금시초문”이라며 연관성을 부인했다.
이날 검찰의 압수수색에는 당시 사장 직무대행으로 개발사업 전반을 지휘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자택 등도 포함됐다. 검찰은 유 전 본부장 등을 출국금지했다. 화천대유 자금 흐름과 관련해 늑장 수사 비판을 받는 경찰은 지난 5월 이미 이성문 화천대유 대표를 불러 조사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수사는 이후 4개월간 큰 진전이 없었는데 관련자들이 말을 맞출 충분한 시간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상헌 구승은 김판 기자 kmpaper@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