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개발이익 환수 법제화” 野 “검경 공수처 못믿어 특검하자”

입력 2021-09-29 04:03

성남 대장지구 개발 의혹을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후보 이재명 경기지사와 국민의힘 사이에 팽팽한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이 지사는 부동산 ‘개발이익 환수 법제화’ 카드를 꺼내들면서 사태를 정면돌파할 태세다. 민간사업자에 막대한 이득이 돌아간 이번 사태의 핵심을 행정 실패가 아닌 제도 미비로 돌리는 전략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 지사를 이번 사태의 최종적 책임자로 지목하며 특검 도입을 압박하고 있다.

국민의힘 박수영(왼쪽) 김형동 의원이 28일 성남 대장지구 개발 의혹과 관련해 이재명 경기지사와 화천대유·천화동인 관계자 등 9명에 대한 고발장 제출을 위해 대검찰청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 지사는 28일 서울 여의도 중앙보훈회관에서 열린 ‘성장과 공정 포럼’ 토론회에서 “부동산 사업 관련 인허가권의 행사로 발생한 불로소득은 국민에게 전부 돌려주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며 부동산 개발이익 환수 법제화 추진을 주장했다. 대장지구 사업에서 5503억원에 달하는 이익을 환수했지만 부동산 가격 급등에 따라 미처 예상하지 못한 막대한 추가이익까지 환수하기엔 제도상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토론회에서는 부동산 개발사업을 통한 이익이 적정 수준인 ‘사회적 수익률’을 초과하는 부분은 공공이 환수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 지사는 “원래 공약으로 제시하고 싶었는데, 사회주의 국가냐고 공격할까봐 안 했었다”며 “마침 조선일보가 왜 개발이익을 환수 못했느냐 공격을 해주니 감사한 생각”이라고 했다.

이 지사는 특혜 의혹을 제기하는 국민의힘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공공개발 막고, 민관 합작도 못하게 5년간 저지한 게 어제의 당신들”이라며 “국민의힘은 토건세력 그 자체 또는 그와 유착한 부정부패 세력”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지사는 측근 인사들의 연루 의혹에 황당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장지구 사업에 참여한 천화동인 1호 이한성 대표가 이화영 킨텍스 사장의 국회의원 시절 보좌관이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의혹이 일었다. 이 지사는 “2004년쯤 1년간 (이 사장의) 보좌관을 했다고 한다”며 “제가 2010년에 성남시장이 됐는데, 그걸 어떻게 저한테 엮느냐. 차라리 같은 국적이라고 엮는 게 빠를 것”이라고 비꼬았다.

이재명 지사가 서울 여의도 중앙보훈회관에서 열린 개발이익 환수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반면 국민의힘은 특검 도입을 거듭 주장하며 이 지사를 압박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이 특검을 반대하는 이유는 ‘진상규명이 지연된다’는 것인데 정말 조악하기 짝이 없다”며 “정권에 충성하는 인물들로 검찰·경찰·공수처를 길들여놨으니 적당히 마사지하면서 우물쭈물 꼬리 자르기 하겠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이 지사 측근 인사의 부동산 투기 의혹도 이어지고 있다. 이재명캠프 김용 총괄부본부장은 성남 시의원이던 2017년 9월 여의도 시범아파트를 6억5000만원 전세를 끼고 14억5000만원에 구입했다. 전형적인 갭투자 방식이다. 현재 이 주택 시세는 30억원 수준까지 올랐다. 김 부본부장은 현재 분당의 한 아파트에 전세로 살고 있다. 캠프 관계자는 “처가와 살림을 합치기 위해 기존 목동 집을 팔고 산 집”이라며 “다주택자도 아니고 투기 목적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정현수 손재호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