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사주·대장동 개발사업 의혹… 중앙지검, 최대한 신속 규명키로

입력 2021-09-27 04:06
서울중앙지검. 국민일보DB

전국 최대 검찰청인 서울중앙지검은 유력 대선 후보들에 대한 의혹을 신속 규명해야 한다는 부담을 짊어지게 됐다. 수사 경과에 따라 대선판이 흔들리고 검찰에 정치적 공격이 가해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검찰은 제기된 의혹들을 최대한 신속하고 균형감 있게 수사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은 윤석열 전 검찰총장 및 이재명 경기지사에 대한 수사를 각각 진행 중이다. 어느 정도 수사가 진척된 것은 윤 전 총장 일가 관련 의혹들이다. 검찰은 조만간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과 관련해 윤 전 총장 부인 김건희씨를 소환해 조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중앙지검은 이른바 ‘고발사주 의혹’도 공공수사1부에 배당하고 수사 중이다. 해당 의혹은 대검찰청 소속 간부가 국민의힘 김웅 의원에게 고발장을 넘겼는지, 고발장을 누가 작성했는지 등이 핵심이다. 윤 전 총장이 의혹에 관여했는지도 쟁점 중 하나다. 윤 전 총장은 국민의힘 유력 대선 후보인데 국민의힘은 11월 5일 대선 후보를 확정한다.

대장동 개발사업 의혹과 관련해선 이 지사 측이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 등을 고발한 사건을 공공수사2부에 배당했다. 대장동 개발 의혹은 결국 화천대유가 참여한 ‘성남의뜰’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과정 및 민간사업자가 막대한 배당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이 설계된 이유 등이 무엇인지, 사업 과정에 불법은 있었는지가 규명 대상이다.

서울중앙지검은 대선 후보들과 관련된 의혹 규명에 최대한 속도를 낼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고발사주 의혹 및 대장동 의혹 모두 윤 전 총장과 이 지사가 직접 개입한 정황은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다. 검찰 출신의 한 변호사는 “한쪽 편에만 수사가 쏠린다면 검찰이 정치적 공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과 별도로 화천대유 자금 흐름을 살펴보고 있는 서울 용산경찰서는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를 27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앞서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김씨와 화천대유 이성문 대표 등의 2019년 금융 거래에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며 경찰에 통보했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