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지구 의혹 대선 쟁점 급부상… 이재명은 “모범개발행정”

입력 2021-09-15 04:03
이재명 경기지사(오른쪽 두번째)가 14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성남시장 재임 당시 추진한 경기도 성남시 대장지구 개발사업 관련 의혹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의 성남시장 재임 시절 성남 판교 대장지구사업과 관련된 의혹이 대선 주요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 사업에 민간투자자로 참여한 업체가 막대한 차익을 거둔 것을 놓고 특혜를 준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대장지구사업은 성남 분당구 대장동 대장지구 일대에 1조1500억원을 들여 5903가구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이 지사가 성남시장 시절 민간 특혜를 막고 사업이익을 환수해 시민에게 돌려주겠다는 취지로 공영개발방식으로 추진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출자금이 5000만원에 불과했던 화천대유자산관리가 대장지구 개발을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법인 ‘성남의뜰’에 참여해 최근 3년간 500억원이 넘는 배당금을 받은 게 공영개발 취지와 무관한 특혜 아니냐는 주장을 하고 있다. 언론인 출신의 화천대유 소유주 A씨가 회사 설립 7개월 전 이 지사를 인터뷰했다는 것도 의혹의 근거다.

논란이 확산되자 이 지사는 14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그냥 넘어가려 했는데 도가 지나치다”며 의혹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 지사는 “2010년 6월 LH가 공영개발을 포기하면서 민간개발업자들이 엄청난 이권을 차지하는 길이 열렸는데, 제가 성남시장에 당선되면서 공영개발로 바꾼 것”이라며 사업추진 경과를 자세히 설명했다. 사업은 민관합동식 공공개발로 추진됐는데, 민간사업자를 공모하면서 투자수익 중 5503억원 상당의 이익을 환수하는 조건을 달아 수익 일부를 성남시 공공의 이익으로 돌려놨다는 것이다.

이 지사는 화천대유에 특혜를 준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민간투자자들은 예상이익이 줄어드니까 제 인가조치 변경에 매우 불만이 많았다. 관련 소송 증인으로 나와서는 저 보고 빨갱이, 공산당 같다고 증언하기도 했다”고 반박했다. 이 지사 아들이 시행사 관련업체에 취업했다는 의혹에는 “아들이 다니는 업체 직원이 5명이라는 걸 근거로 들고 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알아보니 직원 수도 4명”이라고 했다. A씨와 인터뷰한 사실은 있지만 이후 만난 적도 없다고 밝혔다.

야권 대선후보들은 이 지사를 향해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유승민 전 의원 캠프의 이기인 대변인은 논평에서 “공영개발방식이었다며 수천억원의 이익금을 환원했다는 이 지사의 변명과 달리 반짝 페이퍼컴퍼니를 끼어넣고 해당 기업에 수천억원 매출을 올리게 했다”며 “원래는 공공이 환수해야 할 개발이익을 민간투자자가 가졌으니 명백한 특혜 의혹”이라고 주장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캠프도 해당 사업을 기획한 유모 당시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을 겨냥했다. 윤 전 총장 캠프의 김기흥 수석부대변인은 논평에서 “유씨는 이 지사 취임 직후 경기관광공사 사장에 임명된 데 이어 최근 이 지사 대선캠프도 돕고 있다”며 “사업자 공모를 앞두고 급조된 시행업체가 3년만에 출자금 1000배 이익을 가져갔는데도 이 지사는 유씨에게 책임을 묻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수처는 이제라도 이 지시와 화천대유 소유주와의 관계, 공모 과정의 특혜 의혹에 대해 엄정 수사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정현수 백상진 기자 jukebox@kmib.co.kr